“파업 상시화·원청 책임 급증”…유통업계 간부·노조·협력사 모두 불안
“서비스 차질, 구조조정 가능성도”…노사 현장 목소리에선 ‘긴장감’과 ‘기대’ 교차

노란봉투법이 국회 문턱을 넘을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유통업계 현장 곳곳에서는 우려와 긴장감이 확산되고 있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4일 “그동안 하청업체 소속 직원들과 문제가 생겨도 점주가 직접적인 책임까지 지지는 않았다. 그런데 이제는 예전보다 훨씬 복잡하고 직접적인 노사 갈등에 노출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현장 책임자뿐만 아니라 협력사 대표들 역시 고심이 깊다. 전국에 배송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한 유통물류업체 대표는 “원청이 교섭 테이블에 나와 달라는 노조 요구가 실시간으로 들어올까 걱정”이라며 “이렇게 되면 현장의 혼란이 커지고, 실제 상품 공급에 차질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거론되는 쟁점은 하도급 노동자에 대한 원청 책임강화와 쟁의행위 범위 확대다. 유통사들은 대규모 하청 구조에 기대 영업을 이어왔지만, 법 통과 시 수십, 수백 곳 협력사와의 관계에 직접적 부담이 불가피하다. 현장 노조도 이를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한 마트 노조 관계자는 “예전에는 원청과 대화하는 게 어려웠지만, 앞으로는 목소리를 바로 전달할 수 있다. 실질적인 변화가 기대된다”고 했다.
유통업계 인사들은 또다른 현실적 어려움도 토로한다. 본사 직원 A씨는 “원청이 비용까지 책임지라는 요구가 빈번해질 수밖에 없다. 고객에게 돌아가는 서비스 품질 저하, 주요 매장 운영 차질이 우려된다”며 “파업·쟁의가 평상시 일상처럼 발생한다면, 결국 소비자 피해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유통산업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 투자 위축, 불확실성 증가 등을 지적한다. “현장 혼란이 커질수록 사업자들은 자동화나 비정규직 전환 등 돌파구를 찾게 될 것”이라는 물류업계 관계자 목소리도 나왔다. 실제로 유통 대기업은 파업 방지, 교섭 대응 매뉴얼을 다시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현장은 노란봉투법이 통과되면 큰 변화가 일 전망이다.
“하루아침에 노사관계 패러다임이 바뀔 것 같다”는 목소리가 그 변화를 예고한다. 현장 혼란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상생 방안을 찾을 수 있을지, 업계의 시선이 모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