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개사 경합 불구 심사위원 7명 중 2명 ‘광동 만점’…정성평가 70점 기준 공개 안돼 반발 확산

광동제약이 제4기 제주삼다수 국내 위탁판매 판권을 또다시 따내면서, 업계 곳곳에서 불공정 심사 의혹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이번 판권 입찰에는 동화약품, 풀무원, 빙그레(사장 김동환), 웅진식품 등 11개 업체가 뛰어들었으나, 심사위원 7명 중 2명이 광동제약에 타사 대비 10점 이상 높은 점수를 준 사실이 확인되며 논란이 폭발하고 있다.
입찰 조건상 정량평가(30점)는 회사 매출·영업이익 등 구체적 항목으로 평가됐으나, 결정적 비중을 차지한 정성평가(70점)는 기준이 상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평가 결과 역시 점수표만 공개되고 세부 항목, 심사위원 선정 방식, 전문성 등에 대한 정보는 일절 공개되지 않았다. 이에 참여 기업들은 “광동제약 쏠림 평가와 비공개 정성항목은 명백한 불공정” “입찰 경쟁의 공정성·투명성 원칙이 완전히 훼손됐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실제 경쟁사 관계자는 “심사위원 2명이 광동제약에 압도적 고득점을 준 구조가 입찰 전반에 심각한 의구심을 불러일으킨다”며 문제를 강도 높게 제기했다.
제주개발공사는 “나라장터를 통한 전자입찰, 외부 전문가 심사 등 기존 동일 시스템으로 공정하게 진행했다”는 입장이지만, 평가 기준 미공개와 공개점수 편차, 전문성 논란 등 심사구조 자체에 대한 업계의 반발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심사위원 선정부터 최종 우선협상자 결정까지 여전히 ‘깜깜이’라는 지적이다.
이번 삼다수 판권 입찰은 유통 규모 연 4000억원대, 국내 생수 시장점유율 40% 안팎의 국내 최대 '황금알' 판권을 두고 벌어진 대형 입찰전이었다. 삼다수 판권은 2013년 이후 광동제약이 3회 연속 재계약을 이어가고 있다. 업계에선 “반복적 ‘광동 독식’ 구조에 불공정 논란이 해마다 불거진다”며 “진짜 경쟁·혁신이 사라진 시장”이라고 쓴소리를 내고 있다.
여러 기업이 입찰에 뛰어들고도 묻지마 판결에 희생양이 되는 현실, 그리고 표준화되지 않은 정성심사·깜깜이 평가는 이번에도 그대로였다. 공공입찰의 투명성이 시스템 자체의 불신으로 이어진다면, 결국 시장·소비자 모두 피해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번 입찰 업체들은 무엇보다 공정성을 강조하며 “삼다수 판권을 누구보다 공정하게 결정할 수 있는 제도, 이제 재정비가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