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새노조 “장비 회수·보안망 방치가 범행 길 터줘”
"허술한 기지국 관리가 핵심 원인"

[뉴스클레임]
KT 소액결제 해킹 사태가 통신사의 관리 부실 문제로 번지며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피해 규모가 수십억 원에 이르고 불안이 가시지 않는 가운데, KT새노조는 “KT 소액결제 해킹 사건의 진상이 드러날수록 KT의 관리 부실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KT새노조는 12일 성명을 발표, 이번 사태의 근본 원인이 초소형 기지국 관리 부재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초소형 기지국은 KT가 협력업체와 공동 개발해 수년간 차세대 통신 인프라로 홍보해온 장비로, 전국에 수십만 대가 설치돼 있다"며 "하지만 인터넷 서비스 해지나 이사 과정에서 장비가 회수되지 않고 그대로 남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 같은 허술한 관리 탓에 해커들이 기지국을 손쉽게 확보해 범행에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고 말했다.
KT새노조는 또 현재 전국적으로 설치된 수십만 대의 초소형 기지국이 해킹 위험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며 즉각적인 전수 조사와 필요할 경우 회수를 통한 위험 차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초소형 기지국의 유선 인터넷 연결 구간 역시 보안 취약점이 존재한다는 지적에 대해 KT가 이런 위험을 알면서도 취약한 보안망을 그대로 운영한 것은 아닌지 철저히 따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감독 기관의 심사가 부실했는지 여부도 함께 규명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KT새노조는 보안 취약점을 잘 아는 내부자의 개입 가능성에도 의문을 제기했다. 내부 인력 혹은 관련 협력업체가 해커와 연계됐을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KT와 협력업체 전반을 대상으로 추가 조사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무엇보다 경영진의 책임 문제도 강하게 제기했다. 이들은 김영섭 대표가 사과를 표명했지만, 실질적인 책임 인정은 없었다며 비판했다. 초기 피해가 발생했을 때도 경찰 신고 이후 늑장 대응으로 시간을 허비했고,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부인했다가 뒤늦게 사실을 인정하는 등 허위 보고까지 이어지면서 피해가 더욱 확대됐다는 지적이다.
KT새노조는 “실제 금전 피해가 발생한 만큼 과거 SKT 사태보다도 더욱 심각하다”며 김 대표가 스스로 거취를 결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김 대표는 지난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고객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깊이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KT는 소액결제 사기 의심 거래를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보안 기술을 추가 적용하고, 결제 보안 전반을 재점검하겠다고 밝혔다.
KT가 자체 집계한 피해 규모는 수십억 원에 달하며 피해 고객은 수천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 경찰청 사이버수사국과 금융당국이 합동 수사에 착수해 피해 경위와 규모를 조사 중이고, 개인정보 유출 여부에 대해서도 추가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