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번 소환 불응 뒤 현장에 선 한학자, 1억 정치자금·청탁·명품 증여 등 정점 사건 본격 조사
권성동 구속 뒤 이어진 특검 행보, 종교와 권력의 ‘그림자 고리’ 어디까지 밝혀질지 주목

[뉴스클레임]
한학자 통일교 총재가 17일 오전 서울 광화문 김건희 여사 의혹 수사 특별검사팀에 자진 출석했다.
그는 특검의 소환 요구를 세 차례 거부했으나, 체포영장 청구 등 강제 조치 가능성이 커진 상황에서 "건강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지만 약속을 지키겠다"며 출석했다.
한 총재는 "수술받아 아팠다"고 소환 불응 이유를 밝히고, 권성동 의원에게 1억원 정치자금을 전달한 의혹, 김건희 여사에게 고가 명품을 건넨 현안 청탁의 최종 승인자라는 혐의에 대해 취재진 질문에 즉답을 피했다.
특검은 한학자 총재가 2022년 대선을 앞두고 교단 조직과 자금을 활용해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에 정치적 지원을 요청하고, 이를 위해 금품을 제공했다는 정황, 김 여사에게 수천만원대 명품 목걸이와 샤넬백을 청탁용으로 건넨 사실을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통일교 내 증언과 공소장에는 한 총재의 직접 승인이 있었다고 명시돼 있다.
이날 조사에서 한 총재가 혐의를 인정할지, 통일교 조직적 개입을 부인할지에 따라 권력-종교 유착 의혹의 결정적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통일교 측은 "청탁과 금품 제공은 일부 인사의 일탈"이라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한학자 총재가 재정적·정치적 영향력 확대, 교단 민원 해결, 미래 세대 안착을 위한 현실적 생존전략 차원의 개입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조직의 이익과 영향력 유지,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위기관리 속에서 사적 이권 추구가 불법 정치 자금과 현안 청탁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한학자 총재의 자진 출석은 교단의 위기 대응과 조직 보호, 권력 네트워크 유지라는 통일교의 현실이 녹아든 선택이었으며, 수사 결과에 따라 국내 종교·정치계의 유착 구조가 본격적으로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