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서 첫 해외 ‘CEO 인베스터 데이’… 2030년 판매 555만대·영업이익률 8~9% 목표

하이브리드·전기·수소차 전 라인업 확대·77조 투자로 EV 캐즘·관세 장벽 대응

현대차 제공
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가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복합위기를 정면으로 돌파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을 공개했다. 현대차는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 ‘더 셰드(The Shed)’에서 열린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통해 확장된 전동화 라인업과 대규모 투자 계획을 제시하며, 2030년까지 글로벌 판매 555만대, 영업이익률 8~9% 달성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이날 행사에서 EV 캐즘(전기차 수요 둔화), 보호무역주의 강화, 공급망 불안정 등 세계 자동차 산업이 직면한 위기를 언급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해법으로 전동화 전 영역에 걸친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을 내놨다.
이에 따라 현대차는 2030년까지 ▲하이브리드(HEV) 라인업 18종 이상 확보 ▲지역별 맞춤형 전기차(EV) 및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출시 ▲후속 수소전기차(FCEV) 개발을 추진한다. 특히 중국·유럽·인도에는 특화 EV를, 미국에는 하이브리드와 중형 픽업트럭을 집중 투입해 지역별 맞춤 전략으로 돌파구를 모색한다.

현대차는 2030년까지 글로벌 판매량을 연간 555만대로 확대하고, 이 중 330만대를 친환경차로 채운다는 방침이다. 이를 뒷받침할 거점으로는 올해 본격 가동에 들어간 미국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HMGMA), 향후 가동될 인도 푸네 공장, 울산 신공장 등이 꼽힌다.

또한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77조3,0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집행해 전동화 기술 고도화, 공급망 안정화, 신규 사업 확장을 동시에 추진한다. 이는 토요타, 폭스바겐, GM 등 글로벌 빅3와 경쟁하는 과정에서 생산과 기술 다변화를 통해 안정적인 입지를 구축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현대차는 고성능 브랜드 ‘현대 N’과 럭셔리 브랜드 ‘제네시스’를 미래 수익 기반으로 강화해 프리미엄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할 계획이다. 북미 시장에서는 중형 픽업트럭 신규 라인업을 투입하고, 현지 기업들과의 협업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지역 특화 전략을 집중한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CEO는 이날 “현대차는 글로벌 판매 확대와 현지화된 생산,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앞세워 글로벌 톱 3 자동차그룹 반열에 올랐다”며 “불확실성이 큰 시기지만 위기를 기회로 삼아 미래 모빌리티 리더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