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리오사AI·모레·마크비전 창업자 강연… “엔비디아 독점·위조상품 돌파, 핵심은 실행·문제해결력”

최종현학술원(이사장 최태원 SK 회장)과 한국고등교육재단은 19일 서울 강남구 재단 컨퍼런스홀에서 ‘AI 스타트업 토크’를 공동 개최했다.
이번 강연에는 김한준 퓨리오사AI 공동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 조강원 모레 대표(CEO), 이주형 마크비전 AI 총괄이 무대에 올라 창업 배경과 기술 전략, 글로벌 시장 도전 과정, 인재관 등을 공유했다. 세 연사는 모두 과거 장학생 출신으로, 현재 AI 반도체·인프라 소프트웨어·위조상품 탐지라는 각기 다른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을 두드리고 있다는 점에서 청중의 눈길을 끌었다.
김한준 CTO는 “AI가 학습에서 추론 중심으로 전환하면서 전력 소모와 컴퓨팅 파워가 패권 경쟁의 핵심 과제가 됐다”며 퓨리오사AI의 저전력 반도체 칩 전략을 소개했다. 그는 “세계 1위 엔비디아와의 격차는 크지만, 추론 영역에서 충분히 경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조강원 CEO는 “AI 경쟁은 알고리즘이 아니라 초거대 인프라와 이를 최대한 활용하는 소프트웨어의 전쟁”이라고 진단하며, 다양한 칩을 아우르는 인프라 소프트웨어로 비용 구조를 혁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 ‘딥시크(DeepSeek)’ 사례를 언급하며 “결국 승부처는 모델이 아니라 학습·추론 비용을 얼마나 낮추느냐”라고 말했다. 이주형 총괄은 “위조상품 시장이 전 세계 500조 원 규모에 이르고, 한국 피해만도 연 13조 원”이라며, “AI 기반 탐지·차단 기술로 글로벌 지식재산권 보호 생태계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소버린 AI’를 둘러싼 논의에서도 각기 다른 견해가 나왔다. 김 CTO는 “AI와 반도체는 본질적으로 글로벌 경쟁의 영역”이라며 자국 보호 중심의 논리보다 세계 시장 겨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CEO는 “뒤처진 기술을 내수 보호로만 유지하면 국가 경쟁력 자체가 약화된다”고 지적하며, 한국의 선택지는 ▲OpenAI 등 해외 API 활용, ▲오픈소스 모델 수용, ▲오픈소스를 뛰어넘는 독자 모델 개발 세 가지라고 제시했다.
인재 전략에 대한 조언도 이어졌다. 연사들은 “낮은 단계 문제 해결은 AI가 대신할 것”이라며, 프롬프트 엔지니어링과 고차원 문제 정의 능력을 핵심 역량으로 꼽았다. 조 CEO는 “아이디어보다 중요한 것은 실행과 끈기”라며 “스타트업의 일상은 80~90%가 난관이기에 감정의 진폭을 줄여야 지속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CTO는 “스타트업은 늘 날것의 문제를 다루는 조직”이라며 학습력과 수용력을 강조했다. 현장에서는 AI 활용이 번역·협업 등 실제 업무 방식에도 변화를 주고 있으며, 프롬프트를 잘 쓰는 능력이 개인과 조직의 성패를 가른다는 분석도 나왔다.
행사에 앞서 김유석 최종현학술원·한국고등교육재단 대표는 환영사에서 “51주년을 맞은 한국고등교육재단은 훌륭한 학자 양성을 넘어 능동적으로 미래를 개척하는 인재를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스타트업의 치열한 경험이 후배 세대의 귀중한 자산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