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현학술원 특별 강연, 김주형·김영재 연구자 “데이터가 지능을 키우고, 자유의지가 인간의 마지막 영역”

최종현학술원(이사장 최태원 SK 회장)과 한국고등교육재단이 29일 서울 강남구에서 ‘SF, 로봇, 인간’을 주제로 특별 강연을 열었다.
최종현학술원(이사장 최태원 SK 회장)과 한국고등교육재단이 29일 서울 강남구에서 ‘SF, 로봇, 인간’을 주제로 특별 강연을 열었다.

최종현학술원(이사장 최태원 SK 회장)과 한국고등교육재단이 29일 서울 강남구에서 ‘SF, 로봇, 인간’을 주제로 특별 강연을 열었다. 첫 연사로 나선 김주형 미국 일리노이대(UIUC) 교수는 디즈니리서치·카네기멜런대·삼성전자 등에서 쌓은 경험을 토대로 만화·영화 속 로봇을 실제 구현한 연구 과정을 소개했다. 그는 눈동자 흔들림 같은 ‘쓸데없는 움직임’이 오히려 인간다움을 만든다고 강조하며, 로봇 보급 확대를 통한 데이터 축적이 AI 발전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디즈니 시절 ‘겨울왕국’ 올라프에서 착안한 로봇과, 원피스 속 니코 로빈 능력을 응용한 모듈형 로봇팔 사례도 공개했다.

두 번째 연사 김영재 LG전자 수석연구위원은 인간 지능을 “탄소 지능”, AI를 “실리콘 지능”으로 구분하며 차이를 설명했다. 그는 로봇 지능 수준을 “10단계 중 2단계”로 진단하면서도, 데이터 축적이 이뤄지면 인간을 넘어설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인간과 로봇의 본질적 차이를 “자유의지”에 두며, 이는 인간만의 고유한 영역으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두 연구자는 로봇 대중화의 분수령을 가사노동 자동화에서 찾았다. 김 연구위원은 “설거지·빨래·정리 같은 마지막 1미터를 메워야 한다”고 했고, 김 교수는 생활양식 변화와 함께 로봇 수용성이 점차 높아질 것이라 전망했다. 또 AI가 인간의 불완전함을 비춰줌으로써 오히려 인간 지능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된다는 점도 강조됐다.

이번 강연의 대화 진행은 과학작가 곽재식 교수가 맡아, 로봇·AI 기술의 가능성과 한계, 그리고 인간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이끌어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