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90만장 HBM 대형 공급, 해상·육상 데이터센터 구축…한국, 글로벌 AI 3강 중심축으로 부상

삼성과 SK그룹이 오픈AI와 각각 초대형 메모리 공급과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서며, 한국의 AI 3대 강국(G3) 도약의 핵심축으로 부상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 회장은 각각 샘 올트먼 오픈AI CEO와 직접 만나, 반도체·데이터센터·클라우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삼성은 삼성전자·삼성SDS·삼성물산·삼성중공업 등 4개 계열사가 참여해 오픈AI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핵심 기술 파트너로 나선다. 삼성전자는 고성능·저전력 D램 및 HBM 등 메모리를, 삼성SDS는 AI 데이터센터 공동 개발과 기업용 AI 서비스 파트너십을, 삼성물산·삼성중공업은 해상(플로팅) 데이터센터 구축 등을 지원한다.

SK그룹은 SK하이닉스가 오픈AI에 월 90만장 규모의 HBM 공급에 나서고, SK텔레콤은 서남권에 오픈AI 전용 AI데이터센터를 공동 설립해 국내외 AI 인프라 혁신의 중심축을 맡는다.
업계와 정부 모두 “삼성·SK가 앞에서 이끈 초대형 AI동맹은 한국이 본격적으로 글로벌 AI 강국(G3)으로 도약하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과 SK그룹 최태원 회장이 샘 올트먼 오픈AI CEO와 각각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으면서, 두 그룹이 AI 반도체·데이터센터·클라우드 협력을 본격화했다. 양사는 각각 월 90만장 규모의 고대역폭메모리(HBM) 공급, 전용 데이터센터 구축 등의 초대형 동맹을 앞세워, 오픈AI의 글로벌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핵심 파트너로 참여하게 됐다.
삼성은 삼성전자·SDS·물산·중공업 계열이 함께 오픈AI에 AI메모리 반도체, 데이터센터, 클라우드·플로팅센터 등 첨단 인프라를 제공한다. SK하이닉스는 압도적 HBM 기술력을 앞세워 AI 반도체 공급을 주도하고, SK텔레콤은 서남권 등 국내 AI 데이터센터 거점 구축을 담당한다.
정부와 업계는 “이번 파트너십은 한국이 미국·중국과 함께 AI 3대 강국(G3)으로 도약할 분기점”이라고 평가한다. 실제로 삼성과 SK가 이끄는 K-AI 동맹은 글로벌 AI 산업 주도권 경쟁에서 한국의 위상을 한층 강화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