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임업계가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치고 있다. 질병코드도입으로 인해 앞으로 게임산업 위기가 자명한 상태에서 이를 저지하기 위한 위원회가 발족했다. 위원회 맨 선두에는 게임업체들이 포진돼 있다.
29일 게임질병코드 도입 반대를 위한 공동대책 위원회(이하 공대위)가 국회 의원회관에서 출범식을 열었다. 이들이 출범식 장소를 국회 의원회관으로 잡은 것은 정치권에서 질병코드도입을 막아줬으면 하는 간절한 바람에서다. 왜냐면 보건복지부의 감사권을 가지고 있는 게 바로 국회다. 복지부는 국회의 피감기관으로 1년에 한 번 국정감사를 받는다.
어쨌든 이날 출범한 공대위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 25일 스위스에서 열린 총회에서 게임장애 질병코드 등재를 승인한데 대응하기 위해 90개 단체가 뭉쳤다. 합류한 단체들의 면면을 보면 게임산업협회와 게임물관리위원회가 가장 눈에 띈다. 이 단체들은 게임업체들이 주축이 돼서 만들어진 사단법인단체들이다. 이외 게임 관련 협단체와 공공기관, 대학교 등도 참가를 했다. 게임관련 학과의 학생들과 게임 개발 관련 학생들도 이번 공대위에 동참했다. 그들에게도 미래에 게임산업은 밥줄인 것이다.
공대위는 10대 활동계획을 통해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국방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게임장애 질병코드 등재와 이해관계가 엮인 범부처가 참여하는 민관협의체 구성을 제안하고 공대위를 상설 기구화 한다는 방침이다. 또 보건복지부 장관 항의 방문과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과 국회의장 면담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위정현 위원장은 "게임이 무엇을 그렇게 잘못했는지 회한이 든다"고 참담한 심정을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