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3일 오전 긴급기자회견
“일부 의료인과의 밀실협의, 의료공공성확보·공공의료확충 철회될 수 없어”
“긴급 사회적논의 테이블 마련하고 국민동의 이끌어내야” 강조
의사들의 집단행동 여파를 환자들이 고스란히 겪고 있다. 부산, 의정부 등에서는 환자가 응급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파업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교수와 간호사 등으로 업무를 대체하는 데도 한계가 생겼다.
전국보건의료노동조합(이하 보건의료노조)은 정부, 국회가 의사단체와 벌이는 밀실야합을 강력 규탄하며 즉각적인 의사 집단휴진 중단 촉구와 함께 의대 정원 확대 관련 사회적 논의를 요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3일 오전 보건의료노조 생명홀에서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생명 볼모로 한 의사 집단휴진을 즉각 중단하라. 집단 진료거부는 의료인의 존재 이유를 망각한 반윤리적인 행위다”라고 주장했다.
그동안 보건의료노조는 의사정원문제와 공공의료확대 정책이 의사집단과의 밀실야합으로 철회돼야 하는 문제가 아님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왔다. 특히 “관련한 정책은 국민생명과 건강권에 중차대한 영향을 미치는 정책이다. 병원과 지역공중보건 시스템의 개혁을 위해서라도 전격적인 사회적 논의와 협의에 따른 결정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의사들은 어떠한 사과도 없이 또다시 자신들의 이해를 관철시키고자 더 많은 사람의 목숨을 담보로 더 큰 집단휴진을 하겠다는 예고를 하기도 했다”며 “지난주에는 정부의 지속된 양보에도 파업을 거두지 않은 것은 물론, 국회 한정애 보건복지위원장과의 협의에도 불구하고 협의 결과를 뒤엎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처럼 국민생명을 볼모로 한 일부 이익집단 내지 전문가 집단에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걸린 의사결정권을 내어주는 것은 앞으로의 공공의료 확대와 의료 공공성 확보를 포기하는 것과 다름없다”며 “정부와 국회는 지금 당장 긴급 사회적 논의 테이브을 마련하고 국민동의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