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의료노조 제공
병원의료노조 제공

부산대병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서울 청와대 앞에 섰다. 부산대병원 비정규직들은 2017년부터 농성, 삭발, 단식, 파업 등 안 해 본 투쟁이 없다. 그들은 문재인정부의 비정규직 정규직화 약속만 믿고 한길만 걸어왔다.

대통령이 나서서 약소한 만큼 차별을 해소하고 고용불안에서 벗어나 안정적으로 일 할 수 있게 되리라 믿었다.

믿음은 오래가지 못했다.

부산대병원은 2017년부터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된 이래 수십 차례의 노사협의와 교섭 끝에 2017년 말까지 정규직 전환을 마치기로 노사가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하염없이 미뤄두고 있다.

그들이 27일 오전11시, 청와대 앞에 선 이유다.

비정규직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코로나19를 핑계로 노동조합의 교섭요구를 회피하는가 하면 심지어 관할 부처인 교육부가 수차례 정규직 전환이행을 촉구해도 부산대병원은 이를 정면으로 거부하고 있다"고 폭로했다.

비정규직들은 이번 사측의 교섭거부로 현장 차별이 더 심해졌다고 울분을 토했다.

기자회견에 따르면 비정규직들은 병원으로부터 정규직과 달리 저가형 일반마스크를 지급받았다. 비정규직 직원이 능동감시 대상이 되자 그제서야 병원직원들과 같은 KF94마스크를 지급 받을 수 있었다.

또 병원 내 확진자 발생시 정규직은 즉시 조치가 이뤄지는데 반해 비정규직은 조치는커녕 확진자 발생 자체가 파악되지 않아 직원뿐 아니라 환자안전에 위협이 됐다.

밀폐된 엘리베이터에 아무런 보호장치 없이 코로나 의심환자와 함께 이동한 엘리베이터 승무원이 폴리글러브 등 보호장비 지급과 보호대책을 요구했지만 묵살 당했으며, 코로나 병동 설치 및 관리보수를 하는 시설현장직원들에게 별도의 안전관리나 보상 없이 업무지시와 위험부담만 전가됐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또 코로나 격려금 차별(정규직 23만원 상당, 비정규직 5만원 상품권)도 받았다고 주장했다.

비정규직들은 "부산대학교병원은 현재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으로서 시민들의 건강을 지켜야 하는 막중한 임무를 부여받고 있다"며 "그런 만큼 부산대병원 내 노동자 모두는 감염의 위험으로부터 차별 없이 보호받아야 한다"고 성토했다. 이어 "비정규직을 방치하고 있는 부산대병원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을 비롯해서 비정규직의 직접고용 정규직 전환에 보다 책임있는 자세로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