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2022년 종로구 장애인 자립생활 권리보장 및 예산 요구’ 기자회견

지난 4월 20일은 정부가 만든 41번째 ‘장애인의 날’이었다. 그러나 이름만 ‘장애인’을 위한 날이지, 열악한 현실을 은폐하고 시혜와 동정으로 대상화하는 잔치로 수십 년간 기능해왔다.

이름과 전혀 다른 날이 돼버린 ‘장애인의 날’, 장애계는 이를 ‘장애인차별철폐의 날’로 바꿔 부르기 시작했다. 뿐만 아니라 장애인을 차별하고 배제하는 지역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해 집중적으로 투쟁하는 기간으로 정했다.

‘장애인차별철폐의 날’을 맞이해 장애계는 서울 종로구청 앞으로 향했다. 6일 오후 종로구청 앞을 가득 채운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노들장애인야학, 노란들판,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서울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는 종로구를 향해 장애인 자립생활 권리보장을 요구했다.

이들은 ‘2022년 종로구 장애인정책 및 예산 요구안’으로 ▲종로구 관내 자립생활주택 안정적 지원 확보 ▲중증장애인자립생활센터 운영비 지원 확대 ▲종로구 장애인평생학습 도시 실현 ▲종로구 장애인평생교육 예산 확보 ▲종로구 장애인평생교육조례 제정 ▲종로장애인 인권영화제 공동 개최 등을 제안했다.

이날 기자회견을 진행한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등은 “장애인을 복지의 수혜자로 전락시키고 대상화하는 시혜와 동정의 사슬을 끊어야 한다”면서 “우리는 장애인의 자유로운 삶과 권리를 위해 이 같은 요구안을 내세웠다”고 밝혔다.

이들은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가치와 역할에 맞는 예산을 편성하고, 공간 확장에 대비한 운영비를 확대시켜야 한다. 또 종로구는 장애인 평생학습에 지원을 확대해야 하고 장애인 평생학습 기관에 급식비를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탈시설 장애인이 더불어 사는 만큼 공공임대 주택 물량 확보에도 힘써야 한다. 장애인자립생활주택 운영 정상화를 위한 임차료도 전액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6일 종로구청 앞에서 진행된 '2022년 종로구 장애인 자립생활 권리보장 및 예산 요구 기자회견' 현장 모습. 사진=김동길 기자
6일 종로구청 앞에서 진행된 '2022년 종로구 장애인 자립생활 권리보장 및 예산 요구 기자회견' 현장 모습. 사진=김동길 기자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