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23일 오전 청와대 사랑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2년 적용 최저임금 인상을 위한 도보행진을 선포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3시 30분 청와대 앞을 출발해 세종시 최저임금위원회까지 걸으며 최저임금 인상 및 불평등 구조 타파를 외칠 계획이다.
이날 진행된 ‘2022년 적용 최저임금 인상! 불평등 구조 타파! 도보행진 선포 기자회견’에서 발언에 나선 이영주 민주일반연맹 공공연대노조 문화국장은 “최저임금법이 명시된 근로자의 생활안전이란 과연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영주 문화국장은 “지자체가 결정한 생활임금은 호화로운 생활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최저선에 생계비, 최저임금을 넘어서 실질적 생활이 가능한 인간다운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에 임금 수준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최저임금은 이름이 무색한 최고임금이 됐다”며 “그마저도 지나치게 높다는 사용자 측의 어이없는 주장이 만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문재인 정부를 향해서는 “정부 역시 마찬가지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임기 3년 이내에 최저임금 1만원 실현을 약속하며 당선됐다. 하지만 임기 3년차 공약을 폐기하고, 2.87%라는 최저수준의 최저임금을 결정했다”고 비판했다.
민주노총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코로나19가 전염병은 누구에게나 평등할 수 있지만 전염병으로 인한 재난은 불평등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줬다”며 “이러한 불평등·양극화 해소를 위해서 지금 당장 필요한 것은 최저임금 대폭 인상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폭 인상을 통해 저임금노동자의 비중을 일소하고 이사회의 불평등·양극화를 해소해야 한다. 나아가 재벌-대기업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소상공인 및 중소·자영업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지원 방안을 즉각 도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