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 리베이트 적발 사례 총 35건 중 ISO37001 인증 업체 22곳

[클레임정치=심은아 기자] ISO37001은 한국컴플라이언스인증원(KCCA) 등 제3자 기구가 임직원 교육과 현장실사를 통해 부패방지경영시스템을 인증하는 제도다.
ESG경영의 일환으로 ISO37001인증을 받는 제약사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해당 인증을 받고도 리베이트로 적발되는 사례가 출몰하고 있어 논란이 일 전망이다.
1일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이 식약처 등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식약처가 제약업계 리베이트로 적발한 사례는 총 35건이다.
이중 22곳의 제약사가 부패방지경영시스템을 마련했다며 ISO37001 인증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신풍제약 일동제약 등 유명 제약사들은 리베이트로 판매정지 처분을 받은지 채 1년도 지나지 않아 ISO 인증을 받았다.
동아에스티의 경우 지난 2018년 7월 판매정지 및 과징금 처분을 받은 그 달에 ISO 인증을 받고, 2020년 2월에 다시 리베이트로 적발됐다.
지난 5월에는 인증 갱신까지 받았다.
이외에도 중견 제약사들의 ISO인증은 리베이트 적발과 불법 담합을 무색할 정도다.
일각에서는 제약사들이 리베이트·담합 등 불법행위로 적발되거나 관련된 법적 분쟁시 사측에 유리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ISO인증을 받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김 의원은 “리베이트 적발에도 불구하고 ISO인증을 대대적으로 홍보하는 것은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어 “보건복지부는 업계의 자율참여라는 이유로 현황 파악조차 하지 않고 있다”며, “산업자원통상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 등 관계부처는 ESG경영의 지표가 되는 인증제도 및 ISO의 신뢰성 제고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