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임노동=박명규 기자] “이 자리에서 같은 내용으로 다시 뵙는다는 것이 마음이 참 어렵다. 어려운 시기에 자리를 내어준 지역아동센터 관계자분들에게 또 한 번 깊은 감사와 동지애를 느낀다. 오늘은 500일이 넘는 기간 동안 겪어온 과정과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방향을 생각해보는 자리가 될 것이다.” 본격적인 규탄의 목소리를 내세우기 전에 이재현 사회복지사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관계자들에게 건넨 말이다.
19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 433개 서울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 단일임금제 도입과 관련해 일방적 공표 이후 현장의 끊임없이 이어지는 정당한 반대에도 강행하는 서울시를 규탄하는 목소리다.
서울시 지역아동센터 자치구 대표자협의회(이하 협의회) 측은 지역아동센터가 근로기준법을 충족하는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법인 기관만 단일임금 대상으로 한정지은 서울시의 운영주체 기준으로 대상여부를 가르는 차별, 기준표를 위반해 타 시설과의 차별을 시행하는 정책 강행에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차별을 바로잡기 위해 1인 시위와 기자회견을 진행했지만 그때마다 시청과 시의회는 시장의 부재를 이유로, 시장과 의회의 정당대립을 이유로 책임회피를 하고 있다고. 올해 역시 내년 대선과 지방선거를 책임회피 방패막이로 삼고 있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이날 ‘서울특별시 지역아동센터 차별없는 단일임금 촉구 기자회견’에 참석한 이재현 사회복지사는 “지역아동센터가 523일차라는 결코 적지 않은 기간 동안 차별적인 임금 정책에 스스로 목소리를 냈고, 그 사이 6번이나 계절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게 아니다. 정당하고 명분있는 당연한 요구이며,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자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럼에도 여러 이유를 대며 회피하고 있다”면서 “‘정당한 권리를 요구함에도 이렇게 외면당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마저 든다”고 토로했다.
협의회 측은 “담당부서의 공공화라는 이유, 현장과 소통 없이 밀어붙이는 정책 강행, 추법인과 개인시설의 줄세우기를 통한 교묘한 현장분열은 지역아동센터를 힘들게 한다. 그럼에도 행정의 갑질이 우리의 절박함과 당위성을 부정할 수는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지역아동센터는 아무도 몰라주는 긴급돌봄의 수고로움에 지친 것이 아니다. 차별정책의 소통 없는 강행에 좌절과 박탈감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며 “서울시에서 일방적으로 만들어낸 법인과 개인시설의 차별제 도입, 타사회복지시설과 지역아동센터의 차별제 도입, 국가인권위원회의 서울시 정책에 대한 차별진정 기각 결정 등을 규탄한다”고 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