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서울시 지역아동센터 차별없는 단일임금 촉구 기자회견
[클레임노동=박명규 기자] 433개 서울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이 서울시청 앞으로 나섰다. 서울시 지역아동센터의 차별없는 단일임금 촉구 1인 시위가 500일을 넘겼음에도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서울시 지역아동센터 자치구 대표자협의회(이하 서울시지자대협)에 따르면,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은 지난해 6월 15일 ‘차별없는 단일임금 촉구 1차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350여명의 현장관계자들이 기자회견에 참여했으며, 920여장의 탄원서를 서울시 정무수석실을 통해 정식 접수했다.
2차 기자회견은 같은 달 26일에 진행됐다. 당시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단일임금제 도입이라는 포장 안에 감춰진 근본 없는 차별정책인 서울시의 임금제를 전면 거부한다’는 보이콧 선언을 했다.
7월 1일에 실시된 3차 기자회견에서는 차별적 임금 보이콧지지 동참 서명서 400여부를 서울시청 여성정채길 담당부서에 정식 접수했다. 수차례에 걸쳐 면담도 요청했지만 어떤 답변도 듣지 못했다.
15차례에 걸쳐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1300여장의 탄원서명서를 공식 접수했지만, 지금까지도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을 향한 차별은 계속되고 있다.
또 다시 거리로 나선 서울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은 서울시에 “지난해 7월 1일 시행된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차별적 단일임금제를 강행한 행정을 규탄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시지자대협과 전국돌봄노동조합은 19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 질병 재난 속에 온 국민이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 긴급돌봄으로 휴관 없이 만 2년여 시간동안 아이들을 돌보고 있는 지역아동센터 복지사들이 다시 이 자리에 모였다”고 말했다.
이들은 “우리는 2년 동안 코로나19와 싸우며 아이들의 안전을 지켜왔다. 이제는 사회적 차별로부터 아이들을 지켜내려 한다”며 “서울시에 일방적으로 만들어낸 법인과 개인시설의 차별제 도입을 규탄한다. 서울시는 ‘동일노동 동일임금’이라는 노동의 기본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서울시 사회복지시설 인건비 가이드라인에 명시돼있는 소규모 시설의 장 및 종사자 급수 기준을 준수해 지역아동센터장 2·3급과 종사자 4·5급도 보장해야 한다”면서 “하루 속히 차별없는 단일임금 시행으로 아이들에게 떳떳한 어른이자 선생님으로 곁에 있게 되기를 바랄 뿐이다. 서울시는 책임 회피를 그만하고 우리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