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학부모단체연합 등 “소아·청소년 백신 접종 의무화 반대”
[클레임노동=김동길 기자] 18세 미만 소아·청소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속도가 성인을 넘어서며 소아·청소년에 대한 백신접종률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러나 학부모들은 백신 이상반응 사례가 다수 보고된 만큼 백신 접종을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최근 코로나19 백신 접종으로 고3 학생이 사망하면서 백신을 꺼리는 분위기는 더욱 거세지고 있다.
전국학부모단체연합 외 63개 단체는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로 죽은 유초중고생은 1명도 없는데 백신으로 고3 학생 2명이 사망했다. 중증과 사망을 예방한다며 사망과 중증 가능성이 있는 백신을 맞게 하는 것이 합리적인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청소년 방역패스 실시 중단 ▲백신 부작용 투명하게 공개 ▲학생들에게 부작용 거의 없는 비타민 C·D 공급 ▲유족 및 중증환자들에게 충분한 보상 실시 등을 요구했다.
전국학부모단체연합 등은 “미국의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16세 이상의 남성 청소년과 청년이 화이자 백신을 접종한 경우 수일 이내 심근염 및 심낭염이 유발될 확률이 2만명 중 1명으로 일방적인 경우보다 5배나 증가한다고 보고했다”며 “우려했던 대로 백신을 접종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중 2명이 사망했다는 뉴스가 나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정부는 12~17세 소아청소년용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에 ‘예방접종의 이익이 더욱 커지고 있다’는 문구를 빨간색으로 처리하고, 고3 학생들의 부작용은 별것이 아니라고 작성했다. 심근염, 심낭염으로 보고된 15건도 모두 회복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질병청에서 발표한 중증 부작용 94건은 왜 사실대로 알리지 않은건가”라고 물었다.
이들은 “유족을 포함한 코로나19 백신 피해 가족들은 묻는다. 살기 위해, 정부를 위해 백신을 맞았는데 허망하게 세상을 떠나야 했는지, 사망이나 중증 상태가 백신과 관련 없다는 주장의 근거가 과연 무엇인지 알려달라고 정부를 향해 울부짖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지금 남아공에서 백신접종한 HIV 감염인에게서 발생한 ‘누’ 변이는 오미크론으로 명명됐는데, 이것이 델타 변이처럼 한국에 주종 바이러스가 되면 백신 효과는 급격히 하락하게 된다. 그런데 위험을 무릅쓰며 학생들에게 백신 접종을 강제하는 게 과연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가”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전문가들도 코로나19 백신의 심각한 부작용을 예측했다. 백신 접종이 장기적 위험이 없다고 주장하는 질병청장이나 업무 책임자인 보건복지부 장관, 총리, 대통령은 향후 백신 위험이 사실로 공인된다면 민형사상의 책임을 지겠다고 약속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