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장차연, 서울시 장애인 이동권 완전 보장 촉구

14일 오후 서울시청 별관 앞에서 장애인 이동권 완전 보장을 촉구하는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이하 서울장차연) 기자회견이 열렸다. 비가 오는 궂은 날씨임에도 장애인들과 활동가들이 모여 지역사회에서 이동하고 교육받고, 노동하며 함께 살아가고 싶다는 목소리를 냈다.

이들의 요구안은 ‘서울시는 장애인 이동권 증진을 위한 서울시 선언 미이행 공식 사과’와 ‘2023년부터 특별교통수단 수도권(서울·경기·인천) 확대 운영’ 등이다. 

구체적인 내용에는 ▲특별교통수단, 임차택시, 바우처 택시 이용 차별 철폐 ▲장애인 단체이동 지원을 위한 서울장애인버스 10대 확보 ▲수도권 지하철 역사 1역사1동선 엘리베이터 100% 설치 ▲마을저상버스 100% 도입 이행 예산 반영 ▲서울교통공사 고소·고발 및 손해배상 청구 취하 등이 있다. 

14일 오후 서울시청 별관 앞 ‘서울시 장애인 이동권 완전 보장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14일 오후 서울시청 별관 앞 ‘서울시 장애인 이동권 완전 보장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서울장차연은 “오세훈 시장은 지난해 6월, 서울장차연과의 면담에서 ‘요구안에 대해 전체적으로 서울시가 의지를 갖고 목표 기한 내에 될 수 있도록 법령, 조례, 예산, 하나하나 목표를 향해 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했다”며 “서울시 장애인 이동권 보장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밝힌 만큼 오세훈 시장은 책임 있는 답변을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지난해 12월 특별교통수단 지역 간 차별 철폐를 위한 내용의 ‘교통약자법’이 개정됐다. 이에 따라 서울시의 특별교통수단 운행 역시 장애인콜택시 수를 대폭 증차하는 등 내부 인프라를 구축해 긴 대기시간 문제 등을 조속히 개선, 장애인의 안전하고 자유로운 시외 이동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