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클레임] 168개 시민단체들이 최근 폭우로 주거취약계층과 발달장애인, 노동자 등 불평등한 사회구조 속에서 취약한 조건에 놓인 이들에게 재난 피해가 집중되고 있다며 기후재난에 대한 대응책을 촉구했다.

재난불평등추모행동은 16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폭우 희생자 추모주간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폭우참사는 기후위기로 인한 자연재해이자 재난 대응책이 부재한 상황에서 발생한 사회적 참사다. 특히 주거취약계층, 기초생활수급자, 발달장애인, 저임금노동자 등 불평등한 사회구조 속에서 취약한 조건에 놓인 이들에게 집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16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열린 ‘폭우참사로 희생된 주거취약계층 발달장애인 빈곤층 노동자 추모주간 선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16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열린 ‘폭우참사로 희생된 주거취약계층 발달장애인 빈곤층 노동자 추모주간 선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이강훈 주거권네트워크 변호사는 “대부분 선진국에서는 습도, 채광, 곰팡이 등을 이유로 지하주택 건축을 금지하고 있다. 거주 역시 마찬가지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은 2005년 58만 가구에서 2022년 현재 32만7000가구로 점차 줄어왔다. 이중 95%의 거주자들이 서울, 경기, 인천 등에서 거주하고 있다”며 “이들 주거형태가 지속되는 것은 도시의 기존 생활권에 머물기 위한 적정하고 저렴한 다른 주택이 없기 때문이다”라고 지적했다. 

>>>영상을 클릭하면 현장 발언을 더 생생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