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암동 지하에 쓰레기 소각장… 마포구 지역 주민들 "계획 즉각 철회"

[뉴스클레임] 서울시가 새 쓰레기 소각장 후보지로 마포구 상암동에 있는 기존 시설 부지를 설정했다. 현재 소각장 지하에 새로운 시설을 짓고 기존 소각장은 철거하겠다는 계획인데, 마포구 지역 주민들은 ‘전면 백지화’를 외치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광역자원회수시설 입지선정위원회에 따르면, 마포 상암동 후보지는 입지·사회·환경·기술·경제 등 5개 분야에서 모두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마포구는 최종 평가에서 94.9점을 받아 1순위로 뽑혔다. 서울시가 지역명을 밝히지 않은 다른 후보지 4곳 중 최고점은 92.6점, 최저점은 84.9점이다.
서울시는 지역 주민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각장과 청소차 출입로 등을 100% 지하화할 방침이다. 오염방지설비와 최첨단 자동화시스템을 도입해 악취 및 매연 피해를 줄이겠다는 구상이다. 소각장 지상에는 복합문화공간과 공원 등을 조성할 예정이다. 소각시설 상부에 스키장을 만들고 벽면에는 암벽장을 설치한 덴마크 코펜하겐의 ‘아마게르 바케’ 소각장처럼 지역 대표 명소로 바꾸겠다는 계획이다.

상암동 쓰레기 소각장 추진 소식이 알려지자 마포구에서는 반발 움직임이 거세지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온라인 커뮤니티, 카페, 오픈채팅방 등을 통해 서명운동을 시작하는 등 단체행동을 벌이고 있다.
상암동 입주자 대표 연합회(이하 연합회)는 서울시에 ‘마포구 추가 소각장 설치 계획 즉각 철회’를 촉구하며 100만 서명 운동에 돌입했다.
연합회는 “서울시는 당초 신규 광역자원회수시설 부지로 기존 시설이 있는 자치구를 제외하겠다고 밝혀왔으나, 지난달 31일 기습적으로 마포구를 선정해 발표했다”며 “마포구는 2005년부터 750톤 용량의 자원회수시설을 운영하며 수십년 동안 주민들이 심각한 피해를 감수해 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행정을 발표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입지 선정 과정에서 환경 평가, 타당성 조사, 주민 영향 건강 조사 등의 과정과 절차는 무시하고 행정적 편의를 위한 최적의 선택을 진행했다. 이에 관련 정보를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어떠한 사전 절차와 주민 설명이 없었다. 주민들의 건강과 안전과 관련된 만큼 생종권과 직결한 문제에 결사 반대한다”며 “서울시가 10년 넘게 기존의 약속된 마포구 개발 계획을 무시한 채 졸속 진행하는 자원회수시설 선정 발표에 대해 즉각 철회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서울시 시민제안 게시판에도 ‘마포구 상암 쓰레기 소각장 백지화’를 촉구하는 청원이 이어지고 있다.
작성자는 “기존의 소각장을 지하로 넣는다고 하는데, 현재 750톤에 더해 2026년에 새로 들어오는 1000톤까지 무려 1750톤을 2035년까지 짊어지고 살아야 한다”며 “상암 시민도 서울 시민인데 왜 희생을 감수해야 하는가. 일말의 상의도 없이 일방적인 후보지 발표를 한 사실만으로도 큰 피해를 입혔다. 쓰레기 소각장이 서울에 반드시 필요하다면, 서울 시내 25개 구마다 하나씩 소형 소각장을 건립해 자치적으로 처리하는 게 정상적인 발상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 [박상률의 문학칼럼] 시의회에서 영어로 연설? 가지가지 한다...
- ‘식품위생법 위반’ 배달음식점 22곳 적발
- [클레임톡] 군대 월급 50년 1300배↑…다음 선거 때는?
- [세금폭탄 웬말①] "주민세종업원분 중단하라"
- [세금폭탄 웬말②] 복지관은 면제, 자립생활센터는 세금 부과?
- [세금폭탄 웬말③] "활동지원도 공익사업이다"
- 폐지 기로에 선 ‘버터나이프크루’… “성평등 조성 위한 정책 확대를”
- KB국민은행, 저소득층 무료 보험 지원 기부
- “후퇴하는 서울시 민주주의… 민주시민교육 학습권 보장해야”
- [포착] 전대넷 "등록금 반환소송 기각한 재판부 규탄"
- 롯데마트, 서울시·라이트브라더스와 재생자전거 판매 활성화 협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