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 의무 휴업 확대 요구하는 노동·시민사회·진보 정당 공동행동 기자회견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유통업 의무확대 요구 노동·시민사회·진보정당 공동행동 기자회견’. 사진=서비스연맹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유통업 의무확대 요구 노동·시민사회·진보정당 공동행동 기자회견’. 사진=서비스연맹

[뉴스클레임] 백화점, 온라인 유통업, 복합 쇼핑몰 노동자들이 휴식권과 건강권을 지키기 위해 국회로 모였다.

전국서비스노동조합연맹(이하 서비스연맹)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무휴업 확대를 쟁취해 휴식권과 건강권을 지켜낼 것”이라고 밝혔다.

서비스연맹에서 조사한 비조합원 백화점노동자들의 노동실태 조사에 따르면, 절반 이상이 휴가를 제때 사용할 수 없었고 아파도 쉬지 못했다. 60%가 넘는 노동자들은 주말 가족 행사에 참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쉼 없이 일하는 유통노동자도 문제인데, 제대로 된 휴점일도 없이 돌아가는 아울렛, 백화점을 비롯해 여러 유통매장들 자체도 문제다. 제대로 된 휴점일이 없다는 건 무빙워크, 엘리베이터 등을 점검할 시간도 없다는 소리다”라며 “이는 소비자에게도 위험한 일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마트는 물론 복합 쇼핑몰, 백화점, 유통물류센터 등 수많은 유통물류 사업장이 주말에 쉬어야 한다. 쉴 권리를 실질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확대가 필요하다. 업종을 가리지 않고 더 넓게 보장할 수 있는 의무휴업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진보당 정태흥 공동대표는 “소상공인들은 경제위기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코로나19에 이어 고물가 고금리로 곡소리 밖에 나지 않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윤석열 정부는 오히려 소상공인을 정책을 취하고 있다. 최근엔 지역화폐 국가예산마저 전액 삭감하는 만행을 저질렀다”고 비판했다.

이어 “의무휴업 폐지가 아닌 ‘확대’로 전환해야 한다. 대형마트에 적용되는 ‘월2회’ 의무휴업을 ‘월4회’로 확대해 소상공인도 살리고 마트노동자의 건강권도 보장해야 한다. 또 대형마트가 ‘의무 휴업’을 하고 있을 때 다른 유통산업이 ‘연중 무휴’를 하는 건 매우 불공정하다. 때문에 의무휴업 제도를 백화점, 복합쇼핑몰, 온라인 유통업 등 유통산업 전반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