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환경운동연합 등 “진정한 상생의 길은 본류 수질개선”

[뉴스클레임] 대구시와 안동시가 ‘안동·임하댐 맑은 물 공급과 상생발전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자, 지역 환경단체가 “진정한 상생은 낙동강 본류 수질 개선이다. 안동댐 중금속 원인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영풍석포제련소 주변 환경오염 및 주민건강 공동대책위원회, 대구환경운동연합 등은 2일 오전 세계물포럼기념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녹조로 인한 공포를 해결해 낙동강 분류 수질을 안전하게 하는 것이 진정으로 상생하는 길이며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을 애도하며 침묵 피켓팅으로 진행됐다.
이들은 “대구시의 취수원을 안동댐으로 이전하는 건에 대해 공동성명서, 기자회견 등을 통해 안동댐 중금속 문제와 강이 아닌 관로를 통해 매일 60만톤이 빠져나갈 시 낙동강 본류의 생태환경과 하류지역 용수 사용 문제 발생을 제기했다”고 말했다.
이어 “안동댐을 대구 취수원으로 사용하면 낙동강 수량감소로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하류 지역 용수 부족으로 인해 지역 간 갈등이 야기된다”며 “안동·임하댐으로 인한 안동시민의 피해는 법과 제도로 보상하는 것이 상생의 길”이라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근본적인 수질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 단체는 “부산이나 대구의 취수원을 상류로 옮긴다고 낙동강 물 문제가 해결되는 건 아니다. 낙동강 1300만 시민이 상생할 수 있는 길은 낙동강 본류 수질을 안전하게 개선하는 것”이라며 “주요 오염원인인 영풍석포제련소의 폐쇄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