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TV 구입시 사용 목적·가격 등을 고려해 제품 선택해야”

[뉴스클레임] OTT, VOD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면서 TV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고화질 영상과 음향 품질이 제품 간 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주요 브랜드 TV 6개 제품(고가형·중저가형)을 시험평가한 결과, 일반화질(SDR) 영상, 시야각, 동영상 끌림 등의 성능은 전 제품이 양호한 수준이었으나 고화질(HDR) 영상과 음향품질은 제품 간 차이가 컸다고 26일 밝혔습니다.
시험평가 대상 제품은 고가형 2종, 중저가형 4종 등입니다. 시험평가 항목은 전기용품안전기준, 국제규격, 한국산업표준 등 관련 규격을 참고해 학계, 관계기관, 소비자단체 관계자로 구성된 전문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했습니다.
시험평가 결과 일반(SDR) 영상품질, 제품 간 성능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반적인 시청 화질인 SDR영상에 대한 시험평가 결과 삼성전자(KQ65QNB95AFXKR), LG전자(OLED65G2KNA) 등 고가형 2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매우 우수’했습니다.
중저가형 중에서는 더함(UG651QLED), 삼성전자(KU65UB8000FXKR), 이스트라(AU653QLED) 등 3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ʻ우수ʼ, LG전자(65UQ9300KNA) 제품은 ʻ양호ʼ한 수준이었습니다.
HDR이 적용된 고화질 영상에 대한 화질을 시험평가한 결과에서는 삼성전자(KQ65QNB95AFXKR), LG전자(OLED65G2KNA) 등 고가형 2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ʻ매우 우수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저가형 중에서는 더함(UG651QLED) 제품이 ʻ양호ʼ, 삼성전자(KU65UB8000FXKR), 이스트라(AU653QLED), LG전자(65UQ9300KNA) 등 3개 제품은 ʻ보통ʼ 수준으로 제품 간에 성능 차이가 상대적으로 컸습니다.
좌우 측면에서 시청했을 때 정면 대비 밝기·색상의 변화 정도로 시야각을 시험평가한 결과에서는 LG전자(OLED65G2KNA/고가형) 제품이 밝기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어 ʻ매우 우수ʼ했습니다.
빠르게 움직이는 화면에서 끌림이나 번짐의 정도를 시험평가한 결과, 삼성전자(KQ65QNB95AFXKR), LG전자(OLED65G2KNA) 등 고가형 2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매우 우수’했습니다.
입력지연은 제품 간 차이가 적었습니다. 외부장치에서 입력된 화면 신호가 얼마나 빨리 화면에 표시되는지를 시험평가한 결과, 제품별로 최소 9ms ~ 최대 14ms 수준으로 차이가 크지 않았습니다.
음향품질에서는 LG전자(OLED65G2KNA/고가형) 제품이 상대적으로 ʻ우수ʼ했습니다. ‘매우 우수’한 제품은 없었습니다.
연간소비전력량은 제품 간 최대 1.3배(244 kWh~318 kWh) 차이가 있었습니다. 삼성전자(KU65UB8000FXKR) 제품이 244kWh(3만9000원)로 소비전력량이 가장 적었고, 더함(UG651QLED) 제품은 318kWh(5만1000원)로 가장 많았습니다.
감전보호(누설전류), 전도안정성 등의 안전성과 표시사항은 제품 모두 이상이 없었습니다. 다만 제품별로 화질, 음향, 스마트기능, 콘텐츠, 지상파 UHD 방송수신 등의 부가기능에 차이가 있어 필요한 기능을 확인하고 제품을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