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종사자 폐암 검진결과 대한 당사자 입장 발표 기자회견
학비노조 "무상급식 위험… 급식실 적정인원 충원하고 환기시설 개선해야"

[뉴스클레임]
무상급식이 시행된 지 12년, 학생들을 위해 요리했는데 돌아온 건 '폐암'이었다. 아이들에게 먹일 음식을 만드는 노동자들은 페암과 고강도 노동으로 열악한 환경에서 죽어가고 있었다.
14일 오전 서울 용산구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이하 학비노조) 사무실에서 '폐암 검진결과에 대한 당사자 입장 발표 기자회견'이 열렸다.
현장은 순식간에 울음바다가 됐다. 폐암 확진으로 어렵게 입을 뗀 조합원들은 눈물을 흘리며 급식실 환기기설 등 환경개선, 적정인원 충원 등을 요구했다.
앞서 교육부는 14개 시·도교육청의 학교 급식종사자 2만4065명에 대한 건강검진 결과 139명(0.58%)이 ‘폐암 의심’ 또는 ‘매우 의심’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31명(0.13%)는 폐암 확진을 받았다. 양성결절·경계성결절 등 이상소견을 보인 종사자도 6773명(28.2%)이었다.
교육부는 고용노동부 등과 함께 급식실 환경 개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2027년까지 모든 교육청의 노후 설비를 개선하고, 조리흄을 유발하는 튀김류를 주 2회 이하로 최소화해 폐 질환 위험을 낮춘다는 계획이다.
학교급식노동자들의 주장은 다르다. 학교급식실 적정인원 충원 없이는 학교급식노동자의 폐암 예방은 불가능하다면서 '인력 충원'이 가장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학비노조는 "열악한 급식실 환경 때문에 신규채용이 어려워 급식실 인력에 공백이 생기기 시작했다. 일선 학교에서는 대체인력을 구할 수가 없어 학교급식노동자는 쉬지 못하고 아픈 몸을 이끌고 근무를 하고 있다"며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급식이라는 일상이 무너지기 시작한 것이다. 다른 말로 아이들이 먹는 급식이 위험하다는 이야기다"라고 호소했다.
이어 "이제 희생만으로 학교급식을 유지해 나가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교육당국과 정부는 이제라도 노조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면서 ▲조리흄 다량 발생 메뉴 축소 ▲폐암 의심·확진자 대한 사후관리 및 지원대책 마련 ▲학교급식실 적정인력 충원 ▲환기시설 개선 ▲전체학교급식실 개선 공사 로드맵 마련 ▲학교급식법 개정으로 급식실 조리인력 법제화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으로 급식노동자 폐암 건강검진 의무화 등을 요구했다.
학비노조는 또 "무상급식의 안정적인 운영과 학교급식노동자의 안전하고 건강하게 일할 권리를 위해 어떠한 투쟁도 각오할 것"이라며 "오는 31일 신학기 총파업으로 조합원의 생명과 건강을 지킬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