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회장 제안 및 SK 지원으로 설립된 KAIST SE MBA 10주년 맞아

최태원 SK 회장이 지난해 12월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Impact MBA(옛 SE MBA) 졸업생 간담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SK
최태원 SK 회장이 지난해 12월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Impact MBA(옛 SE MBA) 졸업생 간담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SK

[뉴스클레임]

최태원 SK그룹 회장 제안과 SK 지원으로 지난 2013년 3월 세계 최초의 사회적기업가 양성 석사과정으로 출범한 KAIST SE(사회적기업가) MBA가 10주년을 맞았습니다. 

15일 SK그룹과 KAIST에 따르면 2022년 말까지 지난 10년간 SE MBA 졸업생은 총 153명이 배출됐습니다.

이들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업사이클링 ▲탄소저감 ▲친환경 패션·식품 ▲헬스케어 ▲지역재생 ▲청년 금융 등 환경 및 사회혁신 분야에서 창업한 SE가 모두 144개로 나타났습니다. 

SK가 이중 60개 SE의 사업현황을 파악한 결과, 지난해 말 현재 이들 기업의 총 고용인원은 876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144개 SE의 전체 고용은 1500명 선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2019년 평균 1억7500만원 수준이던 기업 당 연매출은 3년만인 2022년 7억원 수준으로 급성장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졸업생이 창업한 전체 SE는 지난해까지 누적 168건, 총 800억원이 넘는 외부투자를 유치하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관련업계는 이를 최태원 회장의 사회적기업가 인재양성 철학이 만든 결실이라고 평가합니다.

앞서 최 회장은 지난 2012년 “청년실업은 심각한 사회문제지만 기존 영리기업들이 해결하는 데는 한계에 다달았다. 과거 벤처 붐을 일으켰던 젊은이들의 도전정신이 사회적기업 형태로 일어나면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SE MBA 설립을 제안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SK는 매년 SE MBA 장학생 20명 전원의 등록금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 KAIST-SK 임팩트비즈니스센터를 설립해 ▲사회적기업 창업 인큐베이팅 지원 ▲MBA 커리큘럼 개설 및 교수진 양성 ▲사회적기업가 학술활동 등 연구 지원에도 나섰습니다.

이렇게 2년간 MBA 과정을 통해 소셜 임팩트와 창업 교육 및 훈련을 체계적으로 받은 졸업생들은 더클로젯컴퍼니, 케어닥, 잇마플, 크레파스솔루션 등 대표 SE들을 창업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SK는 사회적기업들이 창출하는 ‘사회성과’에 비례해 ‘현금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자사의 사회성과인센티브 프로그램을 통해 SE MBA 졸업자들이 창업한 회사에 총 31억원을 지원했습니다.

또 ‘애프터레인’이 SK임업과 정원 관리사업, ‘컨셔스웨어’가 SK케미칼과 친환경 인조가죽 개발, ‘몽세뉴’가 SK이노베이션과 친환경 캠페인 제품 제작에 나서는 등 SK 관계사와의 연계 사업 추진에도 도움을 줘왔습니다. 

SE MBA는 지난해 말 환경부가 후원해 오던 KAIST 녹색경영정책 프로그램까지 흡수, ▲소셜벤처 ▲녹색성장 과정을 운영하는 Impact MBA로 확대 개편됐습니다.

이번 개편으로 Impact MBA는 환경 분야까지 아우르는 최고 수준의 ESG 통합 창업과정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