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한일 정상, 오염수 장기 보관 해법에 합의해야"

[뉴스클레임]
환경단체들이 '장기보관' 대안을 두고도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침묵한 윤석열 대통령도 '공범'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시민방사능감시센터, 환경운동연합은 16일 논평을 내고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주요 피해국이 될 수밖에 없는 한국 정상이 침묵했다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무책임함이다"라고 밝혔다.
단체들은 방사성 오염수를 물로 희석해서 버리면 환경에 영향이 없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대해 "버려지는 방사성 물질의 총량에는 변함이 없기에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더구나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에는 삼중수소 외에도 수많은 방사성 물질이 포함돼 있다"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오염수를 계획대로 방류할 경우, 먹거리 안전이 위협받고 한일 어민들의 생계가 위태로워질 것이 자명하다고 우려했다.
단체들은 "장기보관이라는 해법이 분명한데도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강행하는 것은 핵발전의 위험을 축소하려는 어리석은 판단이다"라며 "일본의 국제적 핵테러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밝히지 못하고 침묵하면서 국내에서는 ‘기승전핵’만 외치는 윤석열 대통령 역시 공범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후쿠시마 오염수의 안전한 장기 보관을 염원하는 시민들의 목소리를 외면하고, 해양 방류를 통해 생태계와 시민 안전을 위협하려는 기시다 총리와 이 범죄적 행위에 침묵한 윤 대통령을 규탄한다. 한일 정상은 지금이라도 오염수 장기 보관 해법에 합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요기사
김성훈 기자
shkim@newsclaim.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