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에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공공운영 등 요구안 전달

21일 오후 익산역 광장에서 열린 '익산시 장애인 이동권, 탈시설 권리 보장 촉구를 위한 기자회견'. 사진=전장연
21일 오후 익산역 광장에서 열린 '익산시 장애인 이동권, 탈시설 권리 보장 촉구를 위한 기자회견'. 사진=전장연

[뉴스클레임]

21일 오후 익산역 광장에서 장애인 이동권 및 탈시설 권리 보장을 촉구하는 장애인들의 외침이 터져나왔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이하 전장연)와 전북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전북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은 이날 '익산시 장애인 이동권, 탈시설권리 보장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장애인 이동권 배제하는 익산시를 규탄한다"고 밝혔다.

단체들은 "익산시는 전라북도에서 전주 다음으로 보행상 정도가 심한 장애인 수가 많은 도시다. 교통약자법에 따라 보행상 정도가 심한 장애인 5900여명으로 2021년까지 특별교통수단 법정대수 40대가 도입됐어야 하지만 2년 넘게 법을 안 지키고 있다"며 "아직도 8대가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저상버스는 52대가 도입돼야 했지만 지난해 35대가 도입됐다. 아직 17대가 부족하다"면서 "호남 최대 광역교통 허브, 익산 안에서 이동할 수 없는데 광역교통이 웬말인가"라고 비판했다.

조속한 시설 폐쇄와 피해자 탈시설 지원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들은 "익산에 있는 전북보성원 장애인학대 사건이 발생한지 1년이 지났지만 전라북도와 익산시는 시설 폐쇄 및 피해자 탈시설 지원에 늑장을 부리고 있다. '시설 폐쇄는 경찰수사 결과를 지켜본뒤 검토하겠다, 피해자 탈시설지원은 익산시 탈시설시범사업 수행기관이 선정되면 하겠다'는 입장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미 지난해 9월 보건복지부의 장애인인권실태조사가 진행됐고, 전북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조사결과가 나왔음에도 경찰수사 결과를 기다리겠다는 것은 수사기관에만 의지한 채 행정의 역할을 하지 않겠다는 뜻에 다름 아니다"라고 말했다.

기자회견을 마친 후에는 익산시청까지 약 2㎞를 행진하며 장애인 이동권 및 탈시설 권리 보장을 촉구했다.

시청에서는 결의대회를 열고 ▲특별교통수단 차량 1대당 8시간 운전인 2인 확충 ▲바우처택시 도입 및 이용차별 철폐·이동지원서비스 보장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공공운영 ▲저상버스 예외노선 의견 수렴 ▲인권침해 시설 폐쇄 ▲보성원 학대 피해자 즉각 탈시설·자립지원 실시 등 6대 요구안을 시에 전달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