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대통령실 앞 감염병전담병원 보건의료노조 결의대회
감염병 전담병원 회복기 지원 기간 확대, 지원대책 마련 등 촉구

[뉴스클레임]

국민들에게 '영웅' 소리를 들었던 노동자들이 지금은 임금 체불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거리두기 해제, 마스크 해제 등을 거치면서 하나둘씩 일상을 회복했지만, 이들은 여전히 위기 속에 있다. 코로나19 기간 동안 전담병원으로 지정돼 환자치료에 전념해온 지방의료원을 비롯한 공공병원의 이야기다.

2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감염병 전담병원 보건의료노조 결의대회'가 열렸다. 보건의료노조 조합원들은 "코로나19 영웅들에게 정당한 임금을", "공공병원 토사구팽 규탄" 등을 외쳤다.

이날 결의대회를 통해서는 ▲정부에 감염병 전담병원 회복기 지원 기간 확대, 지원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지방자치단체에는 차입 등 자구책 압박 중단, 지방정부 지원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2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감염병전담병원 보건의료노조 결의대회'. 사진=김동길 기자
2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감염병전담병원 보건의료노조 결의대회'. 사진=김동길 기자

보건의료노조는 "한 사람의 생명이라도 코로나19로부터 구하기 위해 사투를 벌이고 자기의 몸을 불사르면서 일해왔다. 국민들이 '영웅'이라고 말해주고캠페인도 벌여줘서 코로나19가 끝나면 '우리의 삶이 조금은 낫겠다'라는 희망을 가졌다.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고 토로했다.

이들은 "지난 3년 4개월 동안 국민들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서 최선의 역할을 다했던 감염병 전담병원들이 지금은 서서히 침몰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공공병원들이 정상적으로 회복하기 위해선 향후 3년이 걸릴 것이라고 진단했다. 예상 손실액은 9000억원에 달할 거라고 예상하고 있다"며 "코로나 영웅이라고 칭송받았던 노동자들은 임금 체불 위기에 내몰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보건의료노조 감염병 전담병원 회복기 지원 확대, 공공의료를 강화하고 공공병원의 공익적 비용 및 회복기 지원 확대, 공공병원의 회복기 지원을 위한 필요예산을 2024년 정부 예산에 반영, 공공의료 기능강화를 위한 의료진 확충 대책 마련 등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