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클레임]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하 보건의료노조)이 정부와 국회에 "파업을 통해 드러난 국민의 관심에 부응하기 위해 7대 요구에 대한 구체적 시행계획을 준비하고, 관련 산업을 제대로 추진하기 위한 법 개정과 예산확보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24일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 회의장에서 열린 '민주노총 총파업 보고 및 이후 계획 발표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혔다.

나순자 보건의료노조 위원장을 대신해 나온 장원석 수석부위원장은 "정부의 탄압 공세가 어느 때보다 극심했지만 굴하지 않고 당당히 맞서 총파업을 성사시켰다. '단 하루라도 한날 한시에 하나의 요구르 내건 전국총파업투쟁'을 기업별 벽을 뛰어넘어 성사시켰다"고 말했다.

보건의료노자 제시한 7대 산별요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전면 확대 ▲근무조별 간호사 대 환자수 1:5로 환자안전 보장 ▲적정인력 기준 마련과 업무범위 명확화 ▲불법의료 근절 위한 의사인력 확충 ▲공공의료 확충과 코로나19 전담병원 회복기 지원 확대 ▲코로나19 영웅에게 적당한 보상 ▲노동개악 중단과 노동시간 특례업종 폐기 등이다.

24일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 회의장에서 열린 '민주노총 총파업 보고 및 이후 계획 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하는 보건의료노조 장원석 수석부위원장. 사진=민주노총
24일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 회의장에서 열린 '민주노총 총파업 보고 및 이후 계획 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하는 보건의료노조 장원석 수석부위원장. 사진=민주노총

장원석 수석부위원장은 "이번 총파업 기간 7대 요구가 주요 방송과 언론을 통해 충분히 공론화되고 국민적 지지와 공감을 획득할 수 있었다. 국가인권위원회조차 보건의료노조 총파업의 핵심 요구인 간호사 1인당 적정환자수 기준 마련을 권고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산별총파업투쟁이 우리 사회에 많은 과제를 던진 만큼 이제 공은 정부와 국회로 넘어갔다. 정부는 7대 요구에 대한 구체적 시행계획을 준비해야 한다. 국회는 관련 사업을 추진되기 위한 법 개정와 예산확보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영상을 클릭하면 현장 발언을 더 생생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