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미얀마 8888항쟁 35주년 기자회견

8일 미얀마 대사관 무관부 앞에서 진행된 '8888 항쟁 35주년 기념 기자회견'. 사진=미얀마 지지 시민모임
8일 미얀마 대사관 무관부 앞에서 진행된 '8888 항쟁 35주년 기념 기자회견'. 사진=미얀마 지지 시민모임

[뉴스클레임]

타는 듯한 폭염 속에서 미얀마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한국시민사회단체모임이 미얀마 대사관 무관부 앞에 모였다. 이들은 미얀마 8888항쟁 35주년을 기념하며 한국 정부와 기업들을 향해 미얀마 군부와의 협력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미얀마 지지 시민모임은 "군부에 맞서 싸운 이들이 선거에서 승리하고 민주주의를 다져왔던 기간은 짧았지만 35년 동안 싸워왔던 저력이 있었기에 군부는 쿠데타 후 2년 6개월이 지난 지금도 쿠데타에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정치범 사면을 통해 어떻게든 정당성을 확보하려고 몸부림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 정부가 자국에서 박해의 위험에 놓인 미얀마 이주민들의 난민 지위를 인정하지 않고 한시적인 인도적 특별체류조치만을 적용하는 것도 문제이다. 쿠데타 상황이 장기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미얀마 이주민들이 한국에서 가족들과 함께 안전하게 고국의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활동을 해나갈 수 있는 길을 여는 것이야말로 미얀마의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한국 사회의 확실한 메시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발언에 나선 전은경 참여연대 선임간사는 "지난 5월, 외교부는 18개국의 외교관들을 초청해 국산무기들을 홍보하는 행사를 치렀는데, 이 자리에 딴신 주한 미얀마 대사가 K2 전차에 탑승해 K방산이 최고라며 손을 들어올렸다. 그 보도를 보고 참으로 참담하고 부끄러웠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한국 정부가 미얀마 군부 정권을 정부로 인정해서는 안 되며 그들에게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는 그 어떤 일체의 행동도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와 기업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강인남 해외주민연대 활동가는 "한국 정부는 미얀마에서 여전히 자기의 이권을 위해 회사를 운영하는 한국 기업에 대한 제재 중단을 요구해야 한다. 또 미얀마 시민들에 대한 인도적 조치와 강력한 보호제도를 즉각 만들라"면서 "그것만이 민주화된 나라라고 말하는 한국 정부가 해야 할 행동"이라고 주문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