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공무원 보수 2.5% 인상
공무원노동조합연맹 등 "공무원 보수 예산 재심의해 물가상승률 반영해야"

[뉴스클레임]
공무원노동조합연맹, 교사노동조합연맹, 전국경찰직장협의회가 2024년도 공무원 보수 실질 삭감을 규탄하고 '청년 공무원 최저임금 보장'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4년 공무원 보수 예산 재심의해 물가상승률 반영 ▲공무원·교원·경찰·소방의 처우개선 방안 즉각 마련 ▲공무원 보수 물가연동제 제도화 ▲공무원보수위원회 재편해 법적기구로 설치 운영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오늘 오전 국무회의에서 2024년도 공무원보수 인상률을 2.5%로 결정했다고 한다. 이번에도 올해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에 한참 못 미치는 터무니없이 낮은 수준으로 공무원 보수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내년도 최저임금이 206만740원으로 결정된 것을 고려하면 9급과 8급 저연사 청년 공무원의 내년 보수는 최저임금보다도 낮을 가능성이 크다"며 "대통령은 2억5000만원, 고위 공무원들은 1억원이 훨씬 넘는 고액 연봉을 챙기지만, 청년 공무원들은 내년에도 박봉에 따른 생활고에 시달려야만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최근 가파른 최저임금의 상승, 높은 생활 물가상승률과 고금리에 신음하고 있는데도 2.5%에 불과한 내년도 보수인상률을 꼬집으며 "재벌·대기업의 곳간을 채워주기 위해 공무원을 희생양 삼은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 수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공무원노동조합연맹 등은 "이제는 국회가 답을 해야 한다"면서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해 공무원 보수에 대해서는 최소 물가상승률이나 경제성장률만큼은 반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장발언에 나선 김현진 공무원연맹 위원장은 “정부는 또 다시 하위직 공무원들의 희생만 강요하고 있다. 우리가 얼마나 더 참고 희생을 감내해야 하는가"라며 "이러한 우리의 절박한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한국노총과 함께 강력한 대정부 투쟁을 이어갈 것"이라고 투쟁의지를 피력했다.
신동근 공무원연맹 수석부위원장도 “대표성 없는 공무원 보수위원회가 꾸려져 결국 공무원들의 간절한 요구가 반영되지 않았다”면 “정부는 공무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제대로 된 공무원보수 위윈회를 구성·운영해야 하며, 공무원 보수 물가연동제를 제도화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규탄했다.
주요기사
- 민주당 '8대 약속' 제시… 국힘 "머리 맞댄 결과가 고작 '국정 발목잡기'"
- "여성혐오 정치 최인호, 주민 위해 할 수 있는 건 '사퇴'뿐"
- 서울우유협동조합, ‘나100%우유’ 1000mℓ 대형할인점 인상 최소화
- "서울시사회서비스원 투쟁, 여성노동자 지지 필요한 모두의 투쟁"
- 롯데홈쇼핑, 상품 다양화 전략
- 풀무원푸드머스, '노사문화 우수기업' 선정
- 넷마블 '킹 오브 파이터 올스타', 신규 파이터 업데이트
- "한국 증시, 中 경기 우려 완화 등으로 견조한 흐름 지속 전망"
- 막 오른 황금녘 동행축제… 배민·현대홈쇼핑 등 '장바구니 부담 덜기' 동참
- 미래에셋증권, 해외주식 유입 금액 2조원 돌파
- GC녹십자, 건강한 나눔 실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