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영환 투쟁 승리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구성
공대위 "동훈그룹 21개 택시사업장 현장조사 즉각 실시"

[뉴스클레임]
완전월급제 이행, 임금체불 및 부당노동행위 사업주 해성운수 대표이사 처벌을 요구하며 분신한 방영환 공공운수노조 택시지부 해성운수분회장이 사망한 지 12일이 지났다.
유족 측은 고인 생존의 염원을 풀어야겠다고 판단했고, 서울시에 택시사업장 전수조사 요구 진정서를 제출했다. 공공운수노조 택시지부에 따르면 서울남부고용노동지청에는 해성운수를 포함해 같은 현실의 동훈그룹 21개 택시사업장에 대한 특별근로감독을 요구했다.
그러나 그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이에 시민사회가 함께 '방영환 열사 투쟁 승리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함께 싸울 것을 선포하고 나섰다.
방영환 열사 투쟁 승리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는 18일 오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방영환 열사의 죽음은 해성운수의 폭력과 괴롭힘, 행정기관의 방조가 원인이다. 그들은 공범이다. 노동자들의 생존권을 보장하라는 요구가 무시되지 않게 공범들에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공대위는 "고인의 요구는 너무도 상식적이었다. '택시발전법과 근로기준법에 명시된 대로 근로계약을 맺으라', '법을 위반하고 정당한 노조활동을 폭력으로 방해한 해성운수 사업주를 처벌하라'는 요구였다. 또한 택시완전월급제가 제대로 이행돼 택시노동자의 생존권이 지켜지기를 간절하게 희망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227일간 투쟁 과제에 물리적인 폭력과 괴롭힘을 당해왔다. 해성운수와 법인 택시회사를 관리감독 해야 하는 서울시와 양천구청, 고용노동부는 정당하고 상식적인 방영환 열사의 요구를 철저히 외면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노동자들이 일하다 죽지 않게, 노동자들의 생존권을 보장하라는 요구가 무시되지 않게 공범들에게 책임을 묻는 투쟁을 할 것이다. 방영환 열사의 외침이 끝내 이뤄질 수 있도록 힘을 모아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기사
- 학부모단체 "모든 교권침해 문제, 가정교육 1차 책임으로 느껴"
- 민간단체 10곳 18억 횡령… 국힘 "국고보조금, 비영리 민간단체 '공돈' 아냐"
- [잡채기 칼럼] “칼을 팔아 소를 사라”
- 尹대통령에 전달된 '이태원 참사 1주기 시민추모대회' 초청장… "국화 꽃 한 송이 올려 달라"
- SK그룹 최태원 회장 "빠르게 변화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어"
- 엘지유니참,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 年 163톤씩 절감
- SPC, 취약계층 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캠페인
- 롯데홈쇼핑, '대한민국 광클절' 겨울상품 주문 40% ↑
- 신한은행, S-OIL과 ‘저탄소 전환 위한 ESG 금융지원’ 협약 체결
- 롯데웰푸드, 충청남도·천안시와 설비증설투자 MOU
- NS홈쇼핑, '방송심의 프로세스' 강화
- 한화시스템, 美 콜린스와 SATURN 면허생산계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