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다큐 '크러시' 한국서 시청 불가
민주당 "정부가 직접 확인하고 국민에게 공개해야"

이태원 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크러시' 포스터. 사진=파라마운드플러스
이태원 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크러시' 포스터. 사진=파라마운드플러스

[뉴스클레임]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발생한 이태원 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크러시(Crush)'가 공개됐다. 그러나 정작 한국에서는 예고편조차 시청할 수 없어 논란이 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왜 한국에서만 이태원 참사 다큐를 볼 수 없는지 정부가 직접 확인하고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17일 미국 방송사 CBS가 운영하는 OTT인 파라마운드플러스에는 10·29 이태원 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크러시'가 공개됐다. 

2부작으로 나뉜 해당 작품은 현장에서 구조된 생존자와 의료진, 응급대원 등 22명의 인터뷰를 담고 있다.

또한 폐쇄회로(CC)TV 등 현장 영상 및 청문회 등을 포함한 1500시간 분량의 영상을 바탕으로 사건 당시 현장을 재구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외에도 경찰에 접수된 신고 전화 녹취와 경찰의 대응에 대해 비판하는 내용도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앞두고 해당 다큐멘터리에 대한 국내 관심도 높아졌지만, 아직까진 이 작품은 한국에서 볼 수 없는 상태다. 

파라마운트플러스 공식 홈페이지나 유튭 공식 계정에 올라온 공식 예고편 영상의 재생 버튼을 눌러도 오류 메시지만 뜰 뿐, 영상을 볼 수 없다. 국내 OTT 중에선 티빙이파 파라마운트플러스 시리즈 중 일부를 제공하고 있지만, '크러시'는 방영하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 더불어민주당은 "정부는 한국에선만 이태원 참사 다큐를 볼 수 없는지 직접 확인하고 국민들께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오경 원내대변인은 지난 22일 서면브리핑을 통해 "미국 파라마운트사가 제작한 이태원 참사 다큐 ‘크러시’가 한국에서는 시청할 수 없다. 휴대폰, CCTV, 바디캠 영상 등 1500시간 분량의 기록을 바탕으로 정부 대응의 총체적 문제를 분석한 다큐를 정작 참사가 벌어진 한국에서 볼 수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라고 물었다.

그는 "이태원 참사 1주년을 앞주고 해외에서도 재조명되고 있는데 정작 윤석열 정부는 희생자 가족들을 외면하고 진상규명에는 무책임하고 윗선의 책임없이 꼬리자르기만 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태원 다큐는 윤석열 대통령과 참모들이 다같이 가장 먼저 시청하고 재발 방지책을 세워야 할 프로그램이다. 정부는 '크러시'를 볼 수 없는지 직접 확인하고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