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연예인 등 유명인 마약 투약 혐의에 대한 수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국민의힘이 "마약과 가짜뉴스 같은 사회악을 뿌리 뽑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민의힘 김예령 대변인은 27일 논평을 내고 "우리 사회 곳곳에 마야고가 관련한 문제들이 일파만파 퍼지며 일상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인천세관 직원이 국제 마약 조직과 공모해 국내로 마약 반입을 도운 사건도 발생해 놀랍기만 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무엇보다 청소년들이 다니는 학원가에 마약 음료가 배포되고, 대학 캠퍼스에 마약 광고전단이 뿌려지면서 마약 유통과 관련한 불안감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올해 8월까지 단속된 마약류 사범은 1만8000명대로 집계됐다. 특히 10대 청소년 마약 사범은 지난해에 비해 두 배 수준으로 늘었다.
김예령 대변인은 "마약 유통 수법도 다양해지고 경로도 대담해지고 있다. 이런 엄중함 속에 더불어민주당은 최근 연예인 마약 사건을 두고 정부의 ‘기획설’, ‘음모론’을 제기하면서 사안의 본질을 흐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민주당 안민석 의원은 연예인 마약 이슈에 대해 '우연의 일치일까, 누군가 의도하고 기획했다는 오해를 사기에 충분한 타이밍'이라고 지적했다. 근거를 묻는 질문에는 '근거는 없다'고 답했다"며 "안 의원은 과거 윤지오 씨를 공익제보자로 띄워 수많은 피해자를 양산하고 가짜뉴스로 정치를 선동했지만 이제까지 그 어떤 것도 책임을 지지 않은 정치인이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우리 청소년들에까지 영향을 미치며 마약의 심각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안 의원의 이러한 정치적 가짜뉴스는 정치인으로서의 기본 자질을 의심케 한다"고 꼬집었다.
김예령 대변인은 "심각한 사회문제의 본질은 외면한 채 정치적 선동의 소재로 이슈를 이용하는 나쁜 행태, 나쁜 정치인은 마약과 같은 ‘사회악’ 이다"라며 "국민의 삶을 위협하는 마약 문제는 엄중하게 다룰 것이다. 마약의 유입 차단과 단속, 처벌, 재활치료 등 입체적인 마약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기사
- "국정조사 통해 오송 참사 발생 원인 밝혀야"
- 마약 사범 증가 속도 못 따라가는 경찰관 수
- [잡채기 칼럼] ‘K-핼러윈데이’
- [실적] NH농협금융 3분기 누적 순이익 2조450억원
- 돌아온 10월 29일, 이태원 참사에도 공공안전은 아직
- [실적] 대웅제약 3분기 누적 매출 9024억원
- [단독] SPC 파리바게뜨 생크림에 일회용 행주 혼입 논란… 소비자 측 "매장에 알렸더니 사과없어"
- 유명 연예인들 마약 논란, 하이브에 불똥
- 지수·서수진·황영웅·박혜수, 억울함과 뻔뻔함 그 사이
- 영화관이 콘서트장으로… 김호중·샤이니·비투비·아이유가 선보이는 색다른 만남
- 송영숙 한미그룹 회장, 옥관문화훈장 수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