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운수노조 "이태원 참사 특별법 제정,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등 촉구"

사진=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 협의회
사진=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 협의회

[뉴스클레임]

서울 한복판에서 길을 걷다 159명이 사망한 10월 29일이 돌아오고 있다.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유족은 시청앞 분향소에서 진상규명을 요구하고 있다. 시민단체들도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이태원 참사 특별법 제정 등을 거듭 촉구 중이다.

공공운수노조도 이태원 참사 1주년을 맞아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공공안전 확대, 이태원 참사 특별법 제정 등을 다시 한 번 촉구했다.

공공운수노조는 27일 성명을 내고 "서울 한복판에서 159명의 생명을 순식간에 앗아간 비극이었다. 참사 이후 국가의 부재, 시민안전 외면이 1년 동안 지적됐다. 하지만 책임 있는 위치에 있는 정부의 그 누구도 책임진 이가 없다"고 밝혔다.

특히 "공공안전을 대하는 정부와 여당의 태도는 실망을 넘어 분노를 자아낸다. '이태원 참사 특별법'은 아직도 국회에 발이 묶인 처지다. 소관 위원회인 행정안전위원회에 출석한 행정안전부 장관은 '특별법이 필요 없다'고 발언했다. 여당 의원들은 입법을 반대하며 회의장에서 퇴장했다"고 비판했다. 

공공운수노조는 "공공안전 보장을 위한 안전인력도 오히려 축소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시민안전을 위협하는 인력감축-구조조정안을 고집하고 있다. 안전운임제 일몰과 함께 도로 위 안전도 위기에 놓인 지 오래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안전과 담 쌓고 거꾸로 가려는 것이 윤석열 정부의 정책과 태도"라며 "우리 사회에 안전은 아직도 오지 않았다"고 한탄했다.

이들은 이태원 참사 특별법 제정 등을 거듭 촉구하며 "시민안전을 해치는 인력감축을 중단하고, 안전운임제와 중대재해처벌법을 비롯한 안전 관련 법-제도를 올바르게 세우고 시행할 것을 요구한다. 그것이 정부의 존재 이유이며, 국가의 책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