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서사원 어린이집 파업 사태 해결 촉구

31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어린이집 파업 사태 해결 촉구 시민사회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31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어린이집 파업 사태 해결 촉구 시민사회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뉴스클레임]

공공운수노조 서울시사회서비스원지부 보육교사 조합원들을 비롯해 돌봄노동자 조합원들이 서울시사회서비스원(이하 서사원) 어린이집 지속운영과 단체협약 체결, 공공성과 노동권 요구를 내걸고 전면 파업에 돌입했다. 이들의 파업에 시민사회도 연대하며 서울시 공공보육의 공공성과 노동권을 촉구했다. 

민영화저지 공공성확대 시민사회 공동행동, 공공운수노조 서울시사회서비스원지부는 31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업사태의 해결책은 서울시와 서사원이 갖고 있다. 사회서비스원의 공공성과 돌봄노동자들의 노동권 보장이 이번 파업의 핵심이다"라고 밝혔다.

이들은 "서사원의 어린이집 위수탁 해지 추진으로 일터가 사라질 위기에 처한 보육교사들이 지난 30일부터 전면파업에 돌입했다. 공공돌봄에 대한 시민들의 바램을 무시하면서 학부모와 노동자 모두 동의할 수 없는 어린이집 위수탁해지를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는 가운데 이번 사태가 발생했다"며 "이번 사태에서 책임져야 하는 대상은 오세훈 서울시와 서사원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서울시와 서사원은 서울시민을 위한 공공돌봄에 책임을 다해야 한다. 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일방통행으로 아이들을 민간에 떠넘기고 서사원 보육교사들의 일터를 없애고자 한다면 더 큰 반대에 직면할 각오를 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날 발언에 나선 서사원 강동든든어린이집 보육교사는 "오세훈 시장과 윤석열 정부에 묻는다. 정권교체로 인한 국공립 어린이집 폐지, 공공돌봄 포기의 첫 사례로 역사에서 평생 회자될 자신이 있느냐"라고 되물었다. 

그는 "이번 파업은 임금 인상도 처우 개선도 아닌 당초 서울시가 공언했던 서사원의 공공돌봄 설립 취지를 유지해달라는 것 뿐이다. 어렵게 시작된 영유아 공공돌봄의 퇴보를 막아달라는 것 뿐이다"고 호소했다.

이어 "서울시의회와 서사원이 든든어린이집 위탁 종료 의사를 철회할 때까지, 우리는 현장에 돌아갈 수 없다. 이는 서울시 5개소 어린이집을 위함이 아니라 어린이집 공공돌봄의 선두 주자로 성루시가 선발한 우리의 책임감이자 소명임을 명백히 밝힌다"고 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