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장연, 장애인 비행기 이동권 보장 촉구

사진=전장연
사진=전장연

[뉴스클레임]

비행기는 물리적 거리의 이동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이동수단이다. 그러나 이는 비장애인들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다. 장애인들에게 비행기는 여전히 높은 장벽이다. 다른 나라와 달리 한국의 각 항공사는 장애인이 비행기를 탑승하는데 정당한 권리를 제공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명동성당으로 향했던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이하 전장연)가 이번에는 장애인 비행기 이동권 보장을 외치며 김포공항으로 향했다.

전장연은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역에서 장애인의 비행기 이동권 보장을 위한 지하철 선전전을 펼치며 "한국사회는 여전히 뒤쳐져 있다. 한국사회에서 장애인의 비행기 이동권은 과거의 시간에 머물러 있다"고 비판했다.

전장연이 말한 장애인 비행기 이동권 보장을 위한 항공사 요구안은 ▲휠체어 접근 가능한 기내 편의시설 확보 ▲이용자 체격 고려한 기내용 휠체어 종류 다양화 ▲좌석간 거리 넓은 좌석 무료제공 및 와상 장애인 좌석 보장 ▲휠체어 이용자 탑승 시 기체-탑승장 브리지 의무 배치 ▲의료장비, 보장구 등 추가 화물 무료 지원 ▲전동휠체어 상세 정보 자체 확인 및 배터리 제한 해제 ▲전동휠체어 이용 시 기내 탑승 시 휠체어 1회 교체 등이다. 

이들은 "수차례 휠체어를 갈아 타야만 이용할 수 있거나 전동휠체어의 종류에 따라 탑승을 제약하고 있다. 마치 범죄자라도 된 것처럼 자신의 전동휠체어에 대해 상세히 보고해야 탑승할 수 있다. 항공권 예약 과정에서 단순히 휠체어 이용 여부만을 알리는 것이 아니라, 전동휠체어 배터리의 분리 가능 여부·건습식 해당 사항·잔여량 표기 여부 등을 요구하고 있다. 나아가 실물 사진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고 주장했다.

장애인 승객용 서비스가 충분치 않은 점도 지적했다. 전동휠체어 이용 장애인은 좁은 비행기 좌석 탑승과 그 이동을 위해 별도의 기내용 수동 휠체어로 바꿔 타야 하고, 기내용 휠체어를 타기 위한 보조 장치인 호이스트 등의 설비가 마련돼 있지 않아 승무원이 직접 장애인 당사자의 신체를 옮기는 등 탑승 과정에서 부상이 발생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전장연은 "전동휠체어의 수하물 위탁 및 배터리 분리에 관한 내용도 항공사마다 천차만별이다. 전동휠체어의 리튬배터리 분리에 대해, 훼손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항공사 직원이 아닌 장애인 승객이 직접 하도록 요구하는 경우가 여전히 발생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달 12일 인천국제공항을 방문해 대한항공, 아시아나, 진에어, 이스타항공, 제주항고엥 요구안과 면담 요청 공문을 전달했다. 하지만 그마저도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다시 김포공항에 가고, 일부 대오는 직접 비행기를 타며 장애인 비행기 이동권 보장의 현실을 직접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