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한국 가구가 생각하는 행복한 노후생활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건강’과 ‘경제력’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6일 KB금융그룹이 발간한 '2023 KB골든라이프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가구는 행복한 노후생활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로 ‘건강’(35.7%)과 ‘경제력’(30.1%)를 꼽았습니다.
또한 은퇴전가구(35.2%)보다 은퇴후가구(40.7%)가 ‘건강’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1인가구(31.3%)는 부부가구(29.0%)보다 ‘경제력’을 중요한 요소로 꼽은 가구가 더 많았습니다.
노후생활에 대한 불안감은 연금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습니다.
주된 일자리가 있는 ‘현역가구’와 부부 중 1명 또는 2명 모두가 주된 일자리를 찾고 있는 ‘반퇴가구’ 모두에서 연금을 보유한 가구가 그렇지 않은 가구에 비해 노후생활이 지금보다 좋아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노후 대비 경제적 준비 상황’에서는 아직 은퇴하지 않은 가구의 ‘희망 은퇴 나이는 평균 65세’였으나 ‘실제 은퇴하는 나이(평균 55세)’는 이보다 10년 이상 빠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55%는 노후를 위한 경제적 준비를 ‘아직 시작하지 못했다’는 응답했습니다.
노후의 기본적인 의식주 해결 비용인 ‘최소생활비’로는 월 251만원, 기본적인 의식주 이외 여행, 여가 활동, 손자녀 용돈 등을 줄 수 있는 ‘적정생활비’로는 월 369만원을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그러나 현재 가구가 가진 소득과 지출, 저축 여력 등 경제적 여건을 고려할 때 노후생활비로 준비할 수 있는 금액은 월 212만원으로 나타나 최소생활비에도 못 미쳤습니다.
‘노후 거주지 선택 관련 니즈’에서는 은퇴전가구의 경우 노후 거주지의 주요 인프라로 ‘의료시설이 잘 갖춰진 곳’을 꼽은 반면(65.7%), 실제로 은퇴한 은퇴후가구는 ‘은퇴 전 거주지에서 거주’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42.6%) 나타났습니다.
고령자가 이제까지 살아온 지역 사회에서 계속 거주하고 싶어하는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66.2%가 동의했습니다. 32.5%는 내 집에서 노후를 보내는 데 있어 가장 큰 걱정 거리로 ‘배우자나 가족 간병’이라고 답했습니다.
‘부부가구의 노후 준비 상황’을 살펴보면, 전반적인 노후생활 준비 정도를 1점(전혀 준비돼 있지 않다)에서 7점(매우 잘 준비돼 있다)으로 측정했을 때 ‘자녀가 있는 부부가구’의 노후생활 준비 정도는 3.89점으로 ‘자녀가 없는 부부가구’의 3.48점보다 더 높았습니다.
이번 '2023 KB골든라이프 보고서'는 한국인의 노후 준비 현황을 진단하고, 행복한 노년의 삶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노후 준비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발간됐습니다.
지난 1월 3일부터 27일까지 서울을 비롯한 전국 주요 도시에 거주하는 20~7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됐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