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학년도 수능 수학영역 문항 분석 결과 발표
사교육걱정없는세상 "22번은 대학 과정"

[뉴스클레임]
정부가 '킬러문항'을 배제하겠다고 한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수학영역에서 고교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을 넘어선 문제가 출제됐다는 교사들과 시민사회단체들의 주장이 나왔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과 강민정·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4학년도 수능 수학영역 문항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고등학교 현직 교사들, 교육과정 전문가, 수능 전문가 등과 함께 분석단을 꾸려 그동안 EBS가 발표했던 분석 근거 및 자료, 풀이 방법들을 기준으로 이번 수능 문항을 분석했다.
그 결과, 교육과정 수준과 범위를 준수하지 않는 문항이 존재한다는 것에 분석단 의견이 일치했다.
이들은 "올해 수능 수학영역 46개 문항 중 6개(13.04%)는 고교 교육과정의 수준과 범위를 벗어나 출제된 것으로 판정됐다"고 말했다.
공통과목 3개(14번, 15번, 22번), 선택과목 3개(확률과 통계 30번, 미적분 28번, 기하 30번) 등 총 6개 문항을 킬러문항으로 분류했다.
14번에 대해서는 "그래프를 추론해 함수의 극한을 푸는 문항"이라며 "교육과정 성취기준에서 벗어났고, 사교육 교재를 통해 익힐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공통과목 22번에 대해선 "명백히 대학 과정을 선행학습한 학생에게 유리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해당 문제는 함수부등식을 해석하는 능력을 요하는 문제인데, 고등학교 과정에선 함수방정식이나 함수부등식을 다루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이 외에도 통계 30번과 기하 30번은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범위와 수준을 벗어났다고 꼬집었다.
미적분 28번은 교육과정 교수·학습·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을 준수하지 않았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 등은 "출제당국은 이번에 교육과정 내 출제를 유일무이한 출제 기준으로 삼았다기보다는 함정에 빠지기 쉬운 문항, 과도한 계산을 요구하는 문항 등 특정 유형을 배제한 것으로 보인다"며 "특정 유형을 배제하는 것만으로는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고교 교육과정을 준수하지 않는 킬러문항의 출제로 인해 국민의 피해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부의 엄정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