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배달의민족이 테이블오더나 키오스크, 서빙로봇 지원을 통해 식당 경영의 어려움을 겪는 업주들을 위해 나섰습니다.
배달의민족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은 지난해 10월부터 3개월간 경영 비효율 문제를 겪고있는 외식업체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의 전 과정을 배민외식업광장에 공개했다고 15일 밝혔습니다.
배민은 디지털 전환이 꼭 필요한 가게 유형을 ▲힘든 서빙이 고민인 ‘고강도서빙형’ ▲회전율이 고민인 ‘인기맛집형’ ▲손님 호출이 많아 괴로운 ‘호출지옥형’ ▲홀과 배달 주문 동시 대응이 벅찬 ‘주문병목형’ ▲혼자서 다 해야하는 ‘나홀로사장님형’ 등 5가지로 구분하고 디지털 전환 작업을 적용할 5곳의 가게를 선정했습니다.
최종 선정된 가게 5곳에는 무료로 일대일 전문가 현장 컨설팅부터 디지털 기기 도입 및 교육, 메뉴사진 촬영 등이 제공됐습니다.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각 가게별 운영 상황과 문제점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맞춤형 디지털 기기 도입을 지원했습니다. 서빙로봇, 테이블오더, 키오스크, 디지털 사이니지 등 식당에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기기 가운데 각 업체에 꼭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기기와 대수를 선별해 적용했습니다.
우아한형제들 사장님비즈니스성장센터 조사에 따르면, 이번에 배민이 진행한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에 참여한 가게 '은행나무 풍천장어(경기도 수원)'의 경우 디지털 전환 한 달 만에 월 매출이 6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디지털 전환 시점인 지난해 12월 1주차 기준 월 매출 5800만원에서 올해 1월 2주차 기준 월 매출이 9500만원으로 늘어났습니다.
앞서 5가지 유형 중 '호출지옥형' 대표 업체로 선정된 이 가게의 경우 디지털 전환을 통한 반복호출 감소, 주문 소화량 증가가 매출 상승의 주 요인으로 분석됐습니다.
사이드 메뉴 및 주류 등 추가 주문을 테이블오더로 처리하면서 반복되는 테이블 방문을 줄이고 효율적인 서빙을 진행하면서 좀 더 많은 테이블 주문을 소화할 수 있게 된 결과입니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다른 가게들도 실질적인 매출 상승 효과를 체감했습니다. 은행나무 풍천장어를 포함한 참여 가게 5곳의 디지털 전환 적용 이후 월 매출은 전월 동기 대비 평균 2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참여 업체 업주들은 매출 증가를 견인한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테이블당 주문결제금액 상승을 꼽기도 했습니다. 테이블오더 및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해 주력 메뉴나 세트 메뉴 등의 효과적인 노출 확대가 가능해지면서 주문단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입니다.
이와 함께 참여 업체들 모두 인건비 절감 및 인력 효율화, 홀 주문 및 서빙 실수 감소 등의 효과를 경험했습니다.
배민의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는 배민외식업광장을 통해 총 6건의 콘텐츠로 전 과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