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송파세모녀 10주기 추모제 열려
시민사회 "빈곤문제 해결 위해선 사회보장제도 전반 개선 필요"

[뉴스클레임]
송파구 반지하 방에서 마지막 월세와 공과금 70만원, '죄송하다'는 유서를 남기고 세상을 떠난 송파 세 모녀 10주기가 되는 해이다.
송파 세 모녀의 죽음 이후 '송파 세 모녀 법'이라는 이름으로 '기초생활보장법'과 '긴급복지지원법'이 개정되고 '사회보장급여법'이 신설되는 등 일부 사회보장제도가 개선됐다. 하지만 가난을 이유로 한 죽음은 멈추지 않고 있다.
송파 세 모녀 10주기를 맞아 시민사회단체와 종교계가 복지 사각지대와 빈곤 문제 대책을 호소, "가난을 이유로 한 죽음을 멈추고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보장제도 전반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초생활보장법바로세우기공동행동, 대한불교조계종사회노동위원회, 장애인과가난한이들의3대적폐폐지공동행동 등은 26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송파 세 모녀 10주기 추모제'를 열고 "10주기를 맞아 질문한다. 빈곤은 보편화되는데 왜 빈곤층의 권리는 갈수록 왜소해지는가?"라고 물었다.
이들은 "빈곤 문제는 더욱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 사회에 얼굴을 드러내고 있다. 이 시대의 착취는 한평생의 노동뿐만 아니라 신용을 빼앗기는 것에 이르고 있다"며 "증세없는 복지, 포용적 복지, 약자 복지를 캐치프레이즈로 내세운 역대 정권은 이 문제를 제대로 해결할 의지를 갖고 있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이어 "'더욱 더 어려운 분들’에게 복지를 시행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윤석열 정부의 관점은 빈곤 정책의 선별적 성격을 강조하며 보편적 권리를 퇴보시킨다. 그나마 남아있는 공공서비스마저 시장에 넘기려는 행보는 더 나쁜 미래를 예상하게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지 빈곤층을 돕는 것이 아니라 빈곤을 발생시키는 사회 자체를 변화시켜야 한다. 이를 위한 첫 단계는 현재 가난에 빠진 이들의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기사
- '가난을 만들지 않는 사회로'[송파세모녀 10주기 추모제]
- '사직서 제출' 전공의 1만34명… 정부 "29일까지 복귀하면 책임 묻지 않아"
- [잡채기 칼럼] “제발, 항복하세요!”
- 넷마블 "선수 능력 강화하고 보상도 받고"
- 고 변희수 하사 3주기 앞두고… "순직 인정·차별금지법 제정 촉구"
- 하나은행-파운트투자자문, 업무협약 체결
- 유한킴벌리,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선정
- 농심-국립무형유산원, ‘함께하는 K-무형유산’ 프로그램 추진 협약
- 대신증권, 구버전 윈도우 HTS 서비스 종료
- 웅진씽크빅, 가족 이야기 담은 신작
- 볼보자동차, '볼보 레이디스 데이' 참가자 모집
- 우리금융미래재단, 교육격차 해소 및 미래인재 육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