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핵시민행동 "尹정부, 핵발전 폭주 멈추고 민생 돌봐야"

[뉴스클레임]
1986년 4월 26일 체르노빌 핵발전소 폭발 사고가 발생한 지 38년을 맞이했다.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 사고 38주기를 앞두고 환경단체들은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윤석열 정부에 탈핵 정책 시행을 촉구했다.
탈핵시민행동은 25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체르노빌 핵사고 38주년 기자회견'을 열고 "안전한 핵은 불가능하며, 핵발전은 우리 미래 에너지가 될 수 없다. 윤석열 정부에 핵발전 폭주를 멈추고 어려운 민생을 돌볼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날 방진복을 입은 시민들은 '수명연장 NO, 신규 건설 NO' 피켓을 들고 퍼포먼스를 펼치기도 했다.
이들은 "지금까지도 체르노빌 핵발전소 주변 30km 이내 지역은 출입 금지 지역으로 분류돼 있다. 돌이킬 수 없는 방사능 오염 피해로 사람이 거주할 수 없고, 출입이 제한된 체르노빌 핵발전소 주변 지역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전쟁으로 체르노빌 핵발전소의 안전이 위협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까지도 자포리자 핵발전소는 드론 공격과 폭격 등 전쟁의 위협 속에 위협 속에 안전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핵발전은 안전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윤석열 정부가 체르노빌과 후쿠시마의 교훈을 망각한 채 다시 핵발전 확대의 길로 거꾸로 돌아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일본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해양 투기마저 핵발전 확대에 걸림돌이 될까 두려워 문제와 피해에 대해 눈을 감고 있다고 비판했다.
탈핵시민행동은 "핵발전 확대는 핵 위험을 늘릴 뿐더러 기후재난의 위협 또한 가속하는 것이며, 법제도를 바꾸고 세제 혜택까지 쏟아붇는 핵 진흥 정책으로 나아지는 것은 핵 산업계일 뿐 핵발전소 지역 주민들의 삶은 전혀 나아지지 않는다"며 "진정한 민생은 '탈핵이다"라고 강조했다.
주요기사
- 협회 "가맹사업법 개정안, 프랜차이즈 생태계 파괴 우려"
- 윤재옥 "큰 위기 속 국힘… 부위정경 자세로 잘못 바로 잡아야"
- [잡채기 칼럼] 지원금 1억?… 양육비는 ‘6억’
- LG전자, 중동·아프리카서 현지 밀착 소통
- 신한은행, '신한 신탁라운지' 채널 오픈
- KB국민카드, IFC와 협업해 해외 자회사 지원
- 교촌 발효공방1991-영양군, ‘민관협력 지역상생 협약사업’ 추진 협약
- 농심-전주국제영화제 업무협약 체결
- 롯데웰푸드 ‘목캔디’, 천연 허브 추출물 높여
- 오비맥주, ‘세계 안전의 날’ 안전문화 확산
- 역시 임영웅… 정관장 광고영상 200만뷰 돌파
- 아워홈, ‘번패티번’과 협업
- 현대L&C ‘스마트 에어 시스템’,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본상
- 스마일게이트 희망스튜디오, CSR&ESG 서밋 앤드 어워드 ‘금상’ 수상
- "LG생활건강, 中 실적 회복 가시성 상승… 목표가 유지"
- 남양유업, 불가리스·위쎈 '몽드셀렉션' 금상
- 웅진씽크빅, 유아 위한 '인물 전집 시리즈'
- [실적] 한화시스템, 1분기 영업익 393억원
- KB금융그룹, ‘MSCI ESG평가’서 2년 연속 ‘AAA’ 획득
- '지키자 학생인권'[서울시사회서비스원 폐지조례 통과 저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