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 로고
CJ ENM 로고

[뉴스클레임]

CJ ENM(대표 윤상현)은 한국채택국제회계(K-IFRS) 연결기준으로 2024년 1분기 매출 1조1541억원, 영업이익 123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공시했습니다.

부문별로 보면 미디어플랫폼 부문은 '내 남편과 결혼해줘', '눈물의 여왕' 등 프리미엄 드라마로 시청률과 화제성 모두 1위를 수성한 tvN과 '이재, 곧 죽습니다', 'LTNS', '피라미드 게임', '환승연애3', '크라임씬 리턴즈' 등 오리지널 5연타 흥행과 '2024 KBO리그'로 모바일인덱스 기준 월간 활성 이용자(MAU) 700만을 돌파한 티빙 효과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대비 13.1% 성장한 314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티빙의 유료 가입자는 전분기 대비 13.3% 증가했으며, 1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16.1% 늘어났습니다.

채널·플랫폼 공동 편성 전략 강화로 콘텐츠 제작비 부담이 완화되고 채널·OTT·디지털 間 통합 마케팅이 강화되며 비용 부담이 감소, 영업손실은 전년대비 큰 폭으로 개선된 3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화드라마 부문은 극장 개봉 성과 부진 속에서도 글로벌 시장내 프리미엄 콘텐츠 제작 및 유통이 확대되며 매출이 전년 대비 55.2% 증가한 366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178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음악 부문은 자체 아티스트의 선전과 신규 아티스트의 잇단 데뷔 성공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1분기 매출액은 전년대비 5.7% 증가한 1258억원, 영업이익은 48억원으로 각각 집계됐습니다. 

커머스 부문은 모바일 라이브커머스의 가시적 성과와 원플랫폼 2.0 전략을 통한 신규 브랜드 론칭 확대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3478억원, 영업이익 262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모바일 라이브커머스 취급고가 전년대비 48.8% 증가하는 등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모바일 앱 활성 고객도 15%가량 신장했습니다.

특히 모바일과 TV를 유기적으로 결합한 원플랫폼2.0 전략을 통해 1분기에만 패션, 뷰티, 리빙 등 고관여 카테고리에서 150개 이상 신규 브랜드를 최초 론칭하는 등 압도적 상품 경쟁력을 높인 전략도 주효했습니다.

또한 더엣지, 브룩스 브라더스 등 단독 패션 브랜드의 취급고 확대 및 ‘온스타일 패션위크’, ‘홈리빙페어’ 등 카테고리 특화형 프로모션도 이익에 기여했습니다.

CJ ENM은 2분기 핵심 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흑자 기조를 이어간다는 계획입니다.

미디어플랫폼 부문은 '내 남편과 결혼해줘', '눈물의 여왕', '선재 업고 튀어'로 이어진 트리플 히트의 성과를 이어갈 콘텐츠 라인업을 구축해 채널 경쟁력을 한층 강화합니다.

2분기 '졸업'을 시작으로 '백패커2', '지락이의 뛰뛰빵빵', '밥이나 한잔해' 등 예능 프로그램을 잇따라 선보일 예정입니다. 티빙은 '여고추리반3', '2024 KBO리그', 'UEFA 유로 2024' 등 오리지널 콘텐츠와 대형 스포츠 이벤트 중심으로 라이브러리를 강화해 가입자와 트래픽을 모두 극대화한다는 전략입니다. 

영화드라마 부문은 콘텐츠 유통 역량 강화를 통해 글로벌 공략에 속도를 낼 예정입니다. 애플TV+의 '세브란스(Severance) 시즌2'와 다큐멘터리 '고잉 바시티 인 마리아치(Going Varsity In Mariachi)' 등 피프스시즌의 프리미엄 콘텐츠가 글로벌 OTT에 공급될 예정입니다.

음악 부문은 주요 아티스트 활동에 힘입어 성장을 가속화합니다. 

'제로베이스원'은 미니 3집을, 'JO1'은 싱글 8집을 각각 발매하며 본격 활동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걸그룹 'IS:SUE' 6월 데뷔를 비롯해 'I-LAND 2: N/a'를 통해 실력이 검증된 걸그룹의 탄생도 예고되어 있어 아티스트 라인업은 한층 강화될 전망입니다.

또한 '임영웅', 'RIIZE' 등 톱 아티스트의 콘서트와 5월 'KCON JAPAN 2024', 오는 6월 '월드디제이페스티벌' 등 대형 컨벤션 행사가 예정돼 있어 추가 수익 성장이 기대됩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