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환경단체 "오히려 석탄 산업 투자 늘린 모순된 행보" 비판

[뉴스클레임]
국내 기후환경단체들이 28일 국민연금공단의 ‘탈석탄 선언’ 3년을 맞아 오히려 석탄 산업 투자를 늘린 모순된 행보를 보이고 있는 국민연금을 비판했다.
경남환경운동연합, 기후솔루션, 기후변화청년모임 빅웨이브, 인천환경운동연합, 충남환경운동연합,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환경운동연합, 60+기후행동 등은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탈석탄 선언 3주년 국민연금 겨냥 기자회견'을 열고 "이미 심각한 기후위기를 더욱 악화시키는 석탄투자는 당장 중지돼야 한다"고 밝혔다.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지난 2021년 5월 국민연금은 기금운용위원회를 열어 "코로나19의 확산은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ESG 투자원칙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있다"며 석탄채굴·발전산업에 대한 투자제한전략을 도입하는 '탈석탄 선언'을 한 바 있다.
그러나 3년이 지난 지금까지 어떤 기준에 따라 투자를 제한할 것인지 전략을 밝히지 않고, 그에 따른 투자 변화도 주지 않았다는 게 단체들의 주장이다. 또한 자체적으로 석탄 투자 제한 기준에 대한 연구 용역을 수행하고 최종 보고까지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공개하지 않았다.
이들 단체는 "석탄발전 투자는 좌초자산 가능성이 높은 재무적으로 위험한 투자, 온실가스를 대량 배출하여 기후위기를 가속화하는 반환경적인 투자, 미세먼지의 주 원인으로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반도덕적 투자'라며 "국민의 노후자금으로 이러한 투자를 연장시키고 있는 지금의 투자 행태는 무책임하고 재무적으로도 우둔하다"고 말했다.
이날 회견에 참석한 김민 빅웨이브 대표는 "이대로 간다면 연금 받을 나이가 됐을 때 2050 탄소중립 달성에 실패하고 지구 평균 온도는 3도 가까이 상승할 것"이라며 "연금개혁 논의의 기금운용 측면에서 석탄투자의 심각성을 깊이 고민하고 해결하기 위한 국회의 적극적인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들은 "국민연금은 탈석탄 이행을 시작으로 금융 분야의 탄소중립을 위해, 2040년 넷제로 달성을 목표로 그에 맞는 액션 플랜을 수립할 의무가 있다"면서 국민연금과 22대 국회에 ▲올해까지 석탄발전 매출 비중 30% 이상 기업에 투자를 제한하는 기준 조속히 도입 ▲2040년 금융배출량 넷제로 목표 선언, 구체적인 이행계획 수립 등을 요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