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화성 화재 사망자 유가족에 긴급 생계비 지원
산재 피해 가족협의회 등 "긴급생계비 책정 기준 무엇인가"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3일 오전 광교 청사 브리핑룸에서 화성 화재참사 관련 지원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3일 오전 광교 청사 브리핑룸에서 화성 화재참사 관련 지원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뉴스클레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아리셀 화재 사고 사망자 가족 및 부상자에게 긴급생계안정비를 지급하기로 한 것을 두고 산재 피해 가족협의회,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원회가 "긴급생계비의 책정 기준은 무엇인가"라고 물었다.

산재 피해 가족협의회,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원회는 3일 성명을 내고 "경기도가 긴급생계비 지원을 포함한 이후 계획을 발표했다. 이것이 최종이 아니기에 더 많은 부분 시간을 가지며 살피고 평가하겠지만 브리핑은 많이 아쉽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김동연 지사는 이날 오전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도는 이번 사건이 비극적이고 이례적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해 재난안전대책본부의 심의와 의결, 시민사회 전문가들과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피해자와 유가족에게 긴급생계안정비 지원을 결정했다"고 했다.

사망자 23명의 유가족에게는 3개월분 긴급생계비 550만원, 중상자 2명에게는 2개월분 367만원, 경장사 6명에게는 1개월분 183만원을 각각 다음 날부터 지원한다.

이를 두고 대책위 등은 "사망자, 중상자, 경상자로 나눠 금액을 명시했지만 결론은 피해자 당 월 183만원이다"라며 "2024년 적용되는 최저임금 월 206만원, 경기도 생활임금 월 240만원이다. 긴급생계비의 책정 기준은 무엇인가"라고 되물었다.

또한 "진상규명과 재발 당지 대책 수립도 부족하기 짝이 없다. 경기도가 밝혔듯 참사 원인, 초기 대처, 행동 요령, 사고 후 대처, 신원 확인까지 부족하고 아쉬운 점이 많았다고 인정을 하면서도 현재 유가족과 피해자, 대책위가 시급하다고 요구하는 부분에 대해선 일절 언급이 없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이주민과 이주노동자에 대한 김동연 지사의 발언은 기존 정부나, 자치단체들의 입장을 넘어서는 것이었으나 오늘 발표한 대책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며 "어떠한 보고체계를 통해 현장의 상황을 접하는지 모르겠지만 경기도의 치유, 상담 등의 조치가 제대로 이뤄지는지 다시 점검해 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유가족과 피해자들은 지금 정부가 이 참사에 대해 어떻게 조사하고 어는 정도의 진전이 있는지 묻고 있지만 실상 아무런 정보도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며 "경기도가 가지는 이번 참사를 대하는 진정성이 느껴지고 안전한 일터, 안전한 사회로 나가는 큰 전기를 마련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