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앞 '7·4 전국농민대회' 개최
양곡관리법 전면 개정, 농민기본법 제정 등 요구

[뉴스클레임]
이상기후로 마늘이 갈라진다. 냉해와 수해, 병충해로 농가 생산성이 떨어진다. 정부의 물가 정책 실패로 농가 생산비는 늘고 있다. 농민들은 이대로는 못 살겠다며 하소연한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는 '물가 안정'이라는 명분 아래 농산물 수입을 확대하고 있다. 농민들은 농사를 지을수록 가난의 나락으로 떨어진다.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 모인 농민들은 "이대로는 다 죽는다"며 농민 생존권을 보장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비가 멈추고 체감온도가 31도 이상으로 올랐지만 한여름 뙤약볕보다 농민들의 분노가 더 뜨거웠다.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8개 농민단체는 이날 '7·4 전국농민대회'를 열고 "물가정책이 실패해 생산비가 오른다. 재해예방을 못해서 수확량은 주는데, 왜 책임은 농민들만 져야 하느냐"라고 밝혔다.
이어 "저율 할당관세 남발은 단기적으로 국내 농산물 가격을 폭락시켜 농민 소득을 감소시키고, 장기적으로는 국내 생산기반을 파괴하고 먹거리 사정을 불안정하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일상화 된 기후재난 탓에 농민들의 노동력은 두배, 세배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그 피해에 대한 정부의 안정적인 대책은 전무하다. 이에 농민들의 고통은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가고 있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그러면서 "농민이 죽으면 국민도 죽고 나라도 죽을 것이다. 이대로는 안 된다며 ▲국가책임 농정 실현 ▲무분별한 관세할당제도 저지 ▲쌀값 및 주요농산물 가격보장 및 공정가격제 도입 ▲양곡관리법 전면 개정 ▲농민기본법 제정 ▲윤석열 정권 퇴진 및 송미령 장관 사퇴 등을 요구했다.
주요기사
- 악성 민원 시달린 장학사… "무자격 내부형 교장공모제 재검토"
- 소상공인·자영업자 종합대책에 소공연 "부담 덜어주는 결과 이어지길"
- [잡채기 칼럼] 한반도운전 vs 초보운전
- SPC 파리바게뜨 빙수, 이른 무더위 만나 매출 껑충
- 간장약 성분 'UDCA', 코로나19 예방 효과
- NH농협은행, 'ESG 경영 내실화' ESG 추진위원회 개최
- 팔도, 무더위 앞두고 지역아동센터 음료 후원
- 윤홍근 BBQ 회장 "한식 정의 변화… 한국 브랜드가 만든 음식이 한식"
- GC녹십자웰빙, 기능의학 심포지엄 개최
- "GS건설 2분기 흑자 전환… 목표주가 유지"
- 영화인연대 "티켓 거품 걷어내기, 투명한 정산 강력 요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