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앞 '7·4 전국농민대회' 개최
양곡관리법 전면 개정, 농민기본법 제정 등 요구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진행된 '7·4 전국농민대회'. 사진=최인기 빈민운동가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진행된 '7·4 전국농민대회'. 사진=최인기 빈민운동가

[뉴스클레임]

이상기후로 마늘이 갈라진다. 냉해와 수해, 병충해로 농가 생산성이 떨어진다. 정부의 물가 정책 실패로 농가 생산비는 늘고 있다. 농민들은 이대로는 못 살겠다며 하소연한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는 '물가 안정'이라는 명분 아래 농산물 수입을 확대하고 있다. 농민들은 농사를 지을수록 가난의 나락으로 떨어진다.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진행된 '7·4 전국농민대회'. 사진=최인기 빈민운동가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진행된 '7·4 전국농민대회'. 사진=최인기 빈민운동가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 모인 농민들은 "이대로는 다 죽는다"며 농민 생존권을 보장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비가 멈추고 체감온도가 31도 이상으로 올랐지만 한여름 뙤약볕보다 농민들의 분노가 더 뜨거웠다.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8개 농민단체는 이날 '7·4 전국농민대회'를 열고 "물가정책이 실패해 생산비가 오른다. 재해예방을 못해서 수확량은 주는데, 왜 책임은 농민들만 져야 하느냐"라고 밝혔다.

이어 "저율 할당관세 남발은 단기적으로 국내 농산물 가격을 폭락시켜 농민 소득을 감소시키고, 장기적으로는 국내 생산기반을 파괴하고 먹거리 사정을 불안정하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진행된 '7·4 전국농민대회'. 사진=최인기 빈민운동가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진행된 '7·4 전국농민대회'. 사진=최인기 빈민운동가

이들은 또 "일상화 된 기후재난 탓에 농민들의 노동력은 두배, 세배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그 피해에 대한 정부의 안정적인 대책은 전무하다. 이에 농민들의 고통은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가고 있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그러면서 "농민이 죽으면 국민도 죽고 나라도 죽을 것이다. 이대로는 안 된다며 ▲국가책임 농정 실현 ▲무분별한 관세할당제도 저지 ▲쌀값 및 주요농산물 가격보장 및 공정가격제 도입 ▲양곡관리법 전면 개정 ▲농민기본법 제정 ▲윤석열 정권 퇴진 및 송미령 장관 사퇴 등을 요구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