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셀산재피해가족협의회 등 "아리셀 교섭 회피 규탄 및 정부 대책 촉구"

[뉴스클레임]
아리셀 화재 참사 발생 한 달이 지났다. 그러나 피해자 유가족들은 30분 만에 끝난 아리셀과의 교섭외에 아무런 대책 없이 개별 보상 회유에 시달리고 있다. 이들은 위험의 외주화, 위험의 외주화가 빚어낸 예견된 참사였다며 제대로 된 재발방지 대책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민주노총, 아리셀참사대책위원회, 아리셀산재피해가족협의회는 23일 오전 서울노동지청 앞에서 '아리셀 교섭 회피 규탄 및 정부 대책 촉구 전국 동시다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는 아리셀 사측이 진상규명과 피해보상을 위한 피해자 유족들과의 집단교섭에 성실히 나설 수 있도록 즉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주노동자평등연대 우다야라이 이주노조 위원장은 "아리셀 참사 후 노동자의 안전, 이윤만 중요시하는 회사의 부실한 안전대책, 정부의 미흡한 안전관리 등 때문에 분노했다. 그러나 회사와 정부, 지자체는 책임 있는 태도를 보이지 않고 회피하고 있다. 유가족과의 교섭도 거부하고 있으며, 문제해결에 나서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안전대책 마련, 유가족 피해회복 등은 무리한 요구가 아니다. 더 이상 이러한 비극이 일어나지 않기 위해, 노동자의 생명보다 이윤을 중요시하는 법제도와 관행을 바꾸기 위해, 충분한 책임을 묻기 위해 투쟁하고 있는 것"이라며 "참사의 책임은 아리셀 사측과 정부에 있다. 더는 유가족을 괴롭히지 말고 요구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측이 비자에 따라 보상을 차별하겠다는 것도 큰 문제라고 꼬집었다. 사측이 동포비자 f-4, 방문취업비자 h-2 등의 체류기간을 임의로 설정해 보상을 적게 하려고 하는데, 이는 차별이라는 것이다.
우다야라이 이주노조 위원장은 "방문취업은 동포비자로 전환할 수 있고, 동포비자로는 한국에서 기한없이 체류할 수 있기 때문에 노동할 수 있는 나이까지 일할 수 있다"며 "아리셀은 꼼수를 부리지 말고 차별없이 보상에 나서야 한다. 이제는 이주노동자 산업안전 근본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영상을 클릭하면 현장 발언을 더 생생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