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루나 이크라르 인도네시아 식약처장이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에게 대웅바이오로직스인도네시아 줄기세포 공장 GMP 인증서를 전달하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대웅 제공
타루나 이크라르 인도네시아 식약처장이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에게 대웅바이오로직스인도네시아 줄기세포 공장 GMP 인증서를 전달하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대웅 제공

[뉴스클레임]

대웅과 인도네시아의 20년 인연이 중대한 도약의 전기를 맞게 됐습니다.

대웅의 현지법인 대웅바이오로직스인도네시아(이하 DBI, Daewoong Biologics Indonesia)는 치카랑 자바베카 산업단지 내 줄기세포 공장이 인도네시아 식약처로부터 GMP 인증을 취득하고 본격 가동을 시작한다고 13일 밝혔습니다.

대웅은 지난 2005년 자카르타 지사 설립을 통해 인도네시아 국민과 첫 인연을 맺은 뒤, 윤재승 CVO의 ‘동반성장’ 비전 아래 인도네시아의 ‘이노베이션 파트너’로서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과 인재 성장을 위한 프로젝트를 꾸준히, 집중적으로 이어오고 있습니습니다.

인도네시아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지난해 7%를 넘겼다.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에 돌입한 것입니다. 고령화로 인해 고관절염, 암, 뇌 질환 등 노화와 관련된 퇴행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어, 제약업계는 줄기세포 치료제에 대한 국민적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인도네시아 국민의 헬스케어 동반자를 표방하는 대웅의 DBI가, 화학의약품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난치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쓰일 수 있는 고품질의 줄기세포를 인도네시아 식약처가 지정한 14개 병원에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입니다. 

DBI는 올해 1월, 인도네시아 보건부로부터 줄기세포 처리시설 허가를 받았습니다. 이어 9개월 만에 GMP까지 획득해 인도네시아에 ‘고품질 줄기세포’를 본격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됐습니다.

대웅은 고품질의 줄기세포를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습니다. 이미 한국에서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생산에 필요한 3대 요건인 ▲첨단바이오의약품제조업 ▲인체세포등 관리업 ▲세포처리시설 허가를 모두 획득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탯줄 유래 줄기세포, 지방 유래 줄기세포 등 다양한 줄기세포를 도입하고, 엑소좀 및 면역세포까지 파이프 라인을 확대해 인도네시아 환자들에게 혁신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