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유한킴벌리(대표이사 사장 진재승)는 핸드타월 자원순환 사업을 본격화한지 2년 만에 핸드타월 누적 재활용량이 100톤을 돌파했다고 27일 밝혔습니다.
유한킴벌리는 자원순환 경제 촉진을 위해 2022년 9월부터 핸드타월 자원순환 사업을 시행해 왔습니다.
유한킴벌리는 물기를 닦는 용도로만 활용한 핸드타월은 적절한 관리 체계 하에 수거된다면 제지 공정에서 원료로서 재활용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했고, ESG 경영이 개념화되지 않았던 2014년부터 핸드타월 자원순환 체계 구축 방안을 연구해 왔습니다.
유한킴벌리는 8년간의 연구 끝에 핸드타월의 사용, 배출, 수거, 선별, 운송, 생산 재투입, 재생원료가 포함된 완제품 소비에 이르는 자원순환 체계 구축에 성공했습니다.
이후 기업, 지자체 등의 ESG 경영 실천 의지, 기후위기에 대한 사회적 관심 등이 커지면서 핸드타월 재활용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르게 됐고, 관련 활동은 바이사이클(BI:CYCLE, 상표 제40-2159547호) 캠페인으로 명명됐습니다.
자원순환 시스템 구축의 핵심은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이해관계자, 산업계 및 시민의 적극적인 동참입니다. 유한킴벌리는 바이사이클 캠페인을 전국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지역별 분리배출을 비롯해 건조, 수거, 운송 체계를 거듭 개선해 왔고, 공정 수율 90%를 상회하는 안정적 시스템을 갖추게 됐습니다.
핸드타월 자원순환은 현재 35개 기업·기관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지역도 캠페인 초기 서울시 소재 건물 위주에서 수원, 성남, 용인, 인천, 대전, 부산 등으로 확산되며 전국적인 캠페인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파트너 또한 공공/제조/유통/금융/제약/R&D/IT 등 폭넓은 산업계로의 확산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핸드타월 자원순환 사업을 통해 2년 간 누적된 핸드타월 재활용량은 약 108톤에 이릅니다. 이를 통해 약 104톤CO2eq의 온실가스 배출량 절감 효과도 거뒀습니다. 지금과 같은 속도로 자원순환 체계가 확산된다면, 2025년에는 재활용량이 연간 약 300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