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대노총 타워크레인 노동자 안전활동 선포
타워크레인 사망재해… 올해 1월에만 4명 사망

[뉴스클레임]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타워크레인 노동자가 건설현장 안전을 난장판으로 만든 윤석열 정권을 규탄하고, 고용노동부·국토교통부 등 관계당국이 대책 마련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민주노총 건설노조, 한국노총 타워크레인조종사노동조합은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타워크레인 노동자 안전활동 선포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에서 나몰라라하며 노조탄압에 열을 올린 사이 엉망이 된 건설현장 안전을 노동자 스스로 나서 바로 잡겠다는 선포를 한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가 집계한 타워크레인 관련 사망재해 통계에 따르면 ▲2021년 2명 ▲2022년 2명 ▲2023년 3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다. 2024년 고용노동부 사이렌네 집계된 중대재해 중 타워크레인에 기인한 사망재해는 3건이다. 올 1월에는 총 4명의 노동자가 타워크레인 관련 재해로 목숨을 잃었다.
건설노조 등은 "우리는 이와 같은 중대재해를 예견해 왔다"며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타워크레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왜 타워크레인 재해가 올들어 급증했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건설노조에 따르면 지난 2022년 1월 2일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타워크레인과 관계된 사고를 당하거나 목격한 적이 있다고 답한 노동자들은 30.8%였다. ▲떨어짐(62.5%) ▲자재에 맞음(33.2%) ▲ 끼임(23.7%) 등 후진적 재해가 대부분이었고다. 이들 재해 중 사망은 31%였다.
타워크레인 중량물 인양 작업시 작업반경내 출입제한이 잘 되고 있다고 답한 노동자는 전체의 6.5%로 나타났다. 타워크레인 신호수와의 소통이 원활하다고 답한 노동자는 18.1%에 불과했다. 타워크레인 신호를 전문적으로 하는 전문신호수가 배치됐다고 응답한 답변은 17.6%로 나타났다.
또한 윤석열 정권 이후 건축물이 부실해졌다고 답한 이들은 62.7%에 달했다. 건설노조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제정됐음에도 건설경기 침체와 노조탄압의 여파가 노동자의 안전과 건축물의 품질에 악영향을 끼쳤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타워크레인 재해는 노동자 뿐만 아니라 시민들에게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워크레인 노동자들은 직접 경험한 사고가 시민재해(23.7%)로 이어졌다. 이는 ▲차량파손(52.1%) ▲인접 건물 파손(41.5%) ▲주변 시민 인사사고(31.9%)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답했다.
노조는 "건설경기 침체, 노조탄압의 여파 이후 난장판이 된 건설현장에서 출근한 모습 그대로 퇴근하고 싶다는 안전권을 요구하기 위해 이 자리에 나섰다"며 "엉망이 된 건설현장 안전을 노동자 스스로 나서 바로 잡겠을 것이며, 건설현장 안전활동을 펼치고 부실공사 근절에도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